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EU, '2035년 무공해 차량' 목표 재검토…자동차 제조사 요청 반영

내연기관차 '종말' 목표, '바이오 연료' 등 CO2 중립 연료 포함될 듯
"미국 관세·중국 경쟁·수요 부진"에 업계 고심…폭스바겐 등 유연성 요구
2023년 2월 1일 독일 뮌헨의 Mittlerer Ring에서 자동차가 운행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3년 2월 1일 독일 뮌헨의 Mittlerer Ring에서 자동차가 운행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자동차 제조사들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2035년까지 모든 신차와 밴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제로(zero)로 만드는 목표에 대한 검토를 올해 말로 앞당기기로 했다.
이는 유럽의 자동차 산업이 미국의 관세, 유럽의 수요 부진, 중국 경쟁업체의 공세라는 삼중고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라고 13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당초 2026년부터 시작될 예정이었던 이번 검토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EV)로의 완전한 전환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호소한 데 따른 것이다. 유럽 자동차 산업은 수십 년 만에 가장 힘든 싸움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재검토는 업계에 숨통을 트여줄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제안의 세부 사항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내연기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또는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range extender)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바이오 연료와 같은 CO2 중립 연료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최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박람회에서 "이 부문은 단일 솔루션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폭스바겐과 같은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목표 달성을 위해 더 많은 시간과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EU의 무공해 차량 목표는 밴에도 적용되지만, 현재 전기 밴은 신형 밴 판매의 8.5%에 불과해 전기차 점유율의 약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EU 검토는 밴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며, 소형 전기 자동차에 대한 새로운 규제 범주를 만들어 더 낮은 세금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도 포함될 수 있다.

EU 집행위는 배터리 및 차량 부품에 대한 현지 콘텐츠를 우선순위에 두고, 외국 제조업체 및 장비 공급업체, 특히 중국의 투자 조건을 설정하려 노력하고 있다.
이는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수입 관세를 부과한 이후, 중국 투자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EU가 단순히 부품 조립에 그치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의도를 보여준다.

이번 EU의 재검토는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는 유럽 자동차 산업이 중국과 미국의 경쟁 속에서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이루기 위해 어떤 전략을 택할지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