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HD현대, 스타링크 도입으로 조선소 혁신 가속화…국내 조선업계 최초 위성인터넷 활용

머스크 스페이스X 위성통신으로 스마트 조선소 구현…선박 건조부터 시운전까지 디지털 전환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해 지난 2024년 인도한 LNG운반선의 시운전 모습. (사진=HD현대)이미지 확대보기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해 지난 2024년 인도한 LNG운반선의 시운전 모습. (사진=HD현대)
HD현대가 조선업계 최초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스타링크 위성인터넷을 조선 현장에 도입해 선박 건조 공정부터 시운전까지 전 과정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한다.
지난 11(현지시각) 유스무슬림 보도에 따르면 HD현대는 지난 11KT, KT SAT와 함께 서울 강남구 KT SAT 본사에서 '스타링크 활용 및 인공지능(AI) 기반 업무 혁신 추진' 업무협약을 맺었다.

스타링크 기반 스마트 현장 조성


이번 협약에 따라 HD현대는 선박 건조 과정 전반에 스타링크 저궤도 위성인터넷을 적용한다. 스타링크는 수천 기의 소형 위성을 활용해 전 세계 어디서든 고속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차세대 통신 서비스로, 광케이블이나 기지국 설치가 어려운 해상이나 산악 지역에서도 안정성 있는 연결이 가능하다.

HD현대는 건조 중인 선박 내부에 스타링크 기반 통신망을 구축해 '스마트 현장'을 만들 계획이다. KT SAT는 스타링크 안테나 등 위성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장비를 공급하고, KT는 자사의 AI 기술과 연계해 HD현대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 높이기를 지원한다.

특히 원격 시운전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주목받는다. 지금까지는 시운전 중인 선박이 원거리 해상에서 통신이 끊어지면 통신 가능 영해로 선박을 이동시켜 문제를 해결한 뒤 시운전을 다시 시작해야 했다. HD현대 관계자는 "스타링크 위성망을 활용하면 운항 중인 선박의 엔진 상태와 자료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으로 받을 수 있어 즉각적 조치가 가능하다""시운전 일수가 늘어나는 것을 막고 선박을 더 빨리 인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업 디지털 혁신 가속화


이번 스타링크 도입은 HD현대가 추진 중인 대규모 디지털 전환 계획의 일부다. HD현대는 오는 2030년까지 FOS(Future of Shipyard) 계획을 완료해 생산성 30% 높이기, 공기 30% 단축 목표를 달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국내 조선 3사가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조선소'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HD현대는 올해 말까지 현대미포조선 내업공정에 철판 성형 로봇, 판넬 용접 로봇 등 자동화 장비를 도입하고 설계와 연동된 가상물리시스템(CPS) 구축을 완료해 내업공정 디지털 자동화를 이룰 예정이다.
이태진 HD한국조선해양 전무는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 도입을 통해 작업 안전성과 납기 신뢰성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앞으로도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조선업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영수 KT SAT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HD현대의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하게 되어 뜻깊다""앞으로도 조선·해양 분야의 혁신을 위해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스타링크는 지난 5월 스페이스X와 스타링크 코리아 사이 국경 간 공급 협정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승인을 받았고, 지난 8월 단말기 적합성 평가를 통과하면서 국내 서비스 개시를 위한 법적 절차를 사실상 마쳤다. HD현대는 정부 승인 등 행정 절차를 마치는 대로 늦어도 연내에는 스타링크 통신망을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