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베선트 美 재무 "트럼프, ‘전국 주택 비상사태’ 선포 가능성"

중간선거 앞두고 주택 부담 완화 강조…“지방정부 권한 침해는 피할 것”
미국 네바다주 헨더슨에서 새로 건설 중인 주택 단지     사진=AF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네바다주 헨더슨에서 새로 건설 중인 주택 단지 사진=AFP/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올가을 ‘국가적 주택 비상사태’를 선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급등하는 주택 가격과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백악관이 2026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핵심 유권자들에게 어필할 의제를 부각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베선트 장관은 1일(현지시각) 워싱턴 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모색하고 있지만, 주(州)·카운티·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을 침해하고 싶지는 않다”면서 “올가을 전국 주택 비상사태를 선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 이그재미너는 미국 워싱턴 D.C.에 본사를 둔 보수 성향의 정치 전문 언론 매체다

베선트 장관은 주택 시장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으며, 높은 주거 비용이 많은 미국인의 주요 관심사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주택 구매력 문제가 공화당의 2026년 중간선거 핵심 공약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조치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지만, 베선트 장관은 행정부가 지역 건축·용도 규제를 표준화하고 주택 거래 비용을 낮추는 방안을 직접 검토하고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주택 적정가격 문제를 행정부의 핵심 과제로 강조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처방약 가격 인하를 추진한 맥락과 연결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로이터 통신과의 별도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의 주택 임대료가 하락하고 있다며, 이는 무주택자들에게 중요한 변화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금리가 내려가면 부동산 거래와 주택 매매가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낮은 금리의 모기지에 묶여 있던 사람들이 기존 주택을 시장에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베선트 장관은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표준화를 장려해 건설을 촉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는 주택 공급을 늘리고 높은 건축 비용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올해 들어 연준을 향한 공세를 이어가며, 고금리 기조가 정부의 재정 조달 비용을 높이고 주택 시장을 훼손했다고 주장해 왔다.

팬데믹 이후 미국 주택 시장은 양극화가 심화되며 임차인들의 비용 부담 증가와 신규 주택 구매자의 금리 부담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택 구입 비용 부담 문제는 2024년 대선에서 카멀라 해리스 전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 제시한 핵심 공약 중 하나였다. 당시 해리스는 첫 주택을 건설하는 건설업자에게 세금 공제를 제공하고, 특정 구매자에게는 2만5000달러의 계약금 지원을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선거 기간 동안 연방 소유지를 주택 개발에 개방하고, 규제를 완화해 주택 구입 비용 부담을 줄이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