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케이그라운드벤처스, 차세대 AI·딥테크 기업 위한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

K-피지컬AI·AI융복합 스타트업 육성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
첫 출발로 GPNPU기술기업 하이퍼비주얼AI, 티라로보틱스·윔과 AI 로봇 MOU
AI 얼라이언스를 기획한 케이그라운드벤처스 조남훈 대표(앞줄 왼쪽 두번째)와 K-피지컬 AI 협의체 의장단(공동의장 윤석진 전 KIST원장, K-바이오랩허브 한인석 단장, 조남훈 대표) 및 스타트업들. 사진=케이그라운드 벤처스이미지 확대보기
AI 얼라이언스를 기획한 케이그라운드벤처스 조남훈 대표(앞줄 왼쪽 두번째)와 K-피지컬 AI 협의체 의장단(공동의장 윤석진 전 KIST원장, K-바이오랩허브 한인석 단장, 조남훈 대표) 및 스타트업들. 사진=케이그라운드 벤처스

딥테크 기술사업화전문 VC이며 스케일업팁스 운영사인 케이그라운드벤처스는 인천TP 및 K-바이오랩허브와 협력해 AI 융복합 기술 기반의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그 첫 걸음으로 하이퍼비주얼AI, 티라로보틱스, 윔 등과 AI 로봇 공동개발 MOU를 체결했다.

AI 협의체를 기획한 케이그라운드벤처스의 조남훈 대표는 “기술주권을 위한 소버린(Sovereign) AI가 필요하다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진정한 경쟁력은 한국의 기존 주력산업과 딥테크 기업이 AI 기술과 융합해 독자적인 밸류체인을 구축할 때 가능하다”며 “기술 간 상호 검증과 유효시장 확보를 위해서는 전략적 융합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또 “대기업 중심의 POC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인 생태계 안에서 산업별로 실질적인 AI 기술과 IP를 사업화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대한민국은 이미 반도체, 제조, 방산, 바이오, 메디컬 등 다양한 딥테크 분야 기술경쟁에서 세계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원기관, 투자자를 중심으로 AI 융복합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소버린 AI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4일 창조아고라에서 개최된 행사에서는 온디바이스 AI용 GPNPU를 개발중인 ㈜하이퍼비주얼에이아이(대표 정삼윤)와 RBM(제한된 볼츠만머신)신경망 모델을 보유하고 Native LLM, 데이터센터 AI Ops를 개발 중인 ㈜데이톤(대표 김동현)을 포함해 자율주행 물류로봇 개발 기업 ㈜티라로보틱스(대표 김동경), 피지컬 AI를 위한 인공지능 제어솔루션 기업 윔(대표 전우진) 등 차세대 AI분야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과 ㈜큐제네틱스(대표 장문석), ㈜네메시스(대표 왕성호), ㈜옐로나이프 (대표 이한성) 등 바이오, 헬스케어, 모빌리티 분야에서 AI 융합사업 성과를 만들고 있는 기업들이 참석했다.

AI 물류 로봇 공동개발 MOU를 체결한 하이퍼비주얼 AI 정삼윤 대표(오른쪽 끝), 티라로보틱스 김동경 대표, 윔 전우진 대표, K-바이오 랩허브 한인석 단장, 윤석진 전 KIST원장, 케이그라운드벤처스 조남훈 대표. 사진=케이그라운드벤처스 이미지 확대보기
AI 물류 로봇 공동개발 MOU를 체결한 하이퍼비주얼 AI 정삼윤 대표(오른쪽 끝), 티라로보틱스 김동경 대표, 윔 전우진 대표, K-바이오 랩허브 한인석 단장, 윤석진 전 KIST원장, 케이그라운드벤처스 조남훈 대표. 사진=케이그라운드벤처스


특히 티라로보틱스와 하이퍼비주얼AI, 윔은 차세대 AI 물류로봇 공동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빠른 의사결정과 피드백을 통해 마켓관점의 공동 R&D, 글로벌 IP 출원, 마케팅에도 함께 나서기로 했다.
이 외에도 얼라이언스 출범행사에는 윤석진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K-바이오랩허브 사업추진단 한인석 단장, 인천TP 김종윤 벤처성장센터장, 카이로스벤처스 유영철 대표, 기술과 가치 임윤철 대표, 실리콘밸리 소재 AI 반도체 회사 SambaNova 이상민 박사, IPS 특허법인 한치원 대표 등 글로벌 AI 융합산업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피지컬 AI를 비롯한 AI 융복합 산업 글로벌 성과창출을 위해 ‘AI 얼라이언스 SHIFT’를 출범을 선언했다.

협의체 공동의장으로 윤석진 전 KIST원장과 한인석 K-바이오랩허브 사업추진단장, 조남훈 케이그라운드벤처스 대표를 추대하고 실리콘 밸리 생태계까지 연계해 한국을 대표하는 AI 협의체로 만들어 가기로 뜻을 모았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