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트럼프의 "제조업 부활" 주장에 美 월가 회의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강조하고 있는 ‘관세를 통한 제조업 부활’ 전략이 실질적인 고용 확대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경고가 나왔다.
미국의 대형은행 웰스파고는 최근 낸 보고서에서 “미국 제조업 고용을 1979년 수준으로 회복시키려면 최소 2조9000억 달러(약 3967조원)의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며 단기적 효과에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24일(이하 현지시각) 포춘에 따르면 웰스파고는 지난 22일 발표한 분석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내세워 미국 제조업을 부활시키겠다고 강조하지만 관세는 기업의 인건비와 생산 비용을 높여 오히려 고용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사라 하우스는 “공장 일자리의 실질적인 증가는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낮다”며 “미국 제조업 고용을 과거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일은 험난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미국의 제조업 고용 인원은 약 1280만명으로 지난 1979년 정점이던 2000만명에 한참 못 미친다. 웰스파고는 이 수치를 회복하려면 막대한 자본 투자가 동반돼야 하며 이 과정에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관세 조치가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되는 점도 문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중국산 제품 일부에 대해 90일 유예 조치를 취했지만 곧바로 유럽연합(EU) 제품에 대해 다음달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또 애플이 아이폰 생산을 인도에서 계속할 경우 제품에 25%의 세금을 매기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와 작은 문제가 있다”며 미국으로 생산기지를 전환한 것을 압박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면 제품 가격이 수천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며 사실상 불가능한 시나리오라고 보고 있다. 아마존, 월마트 등 주요 유통 기업들도 관세가 제품 가격 상승이나 이익 축소로 이어질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제조업 부활이 가능하더라도, 이는 단지 공장을 짓는 데서 그치지 않고 숙련된 노동력 확보 문제와도 직결된다. 실제로 지난 2월 전미제조업협회는 오는 2033년까지 미국에서 새롭게 창출될 제조업 일자리가 약 380만개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지만 그 중 절반은 인력 부족으로 채워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웰스파고는 “노동력 고령화와 엄격한 이민 정책으로 인해 노동 인구가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젊은 세대의 제조업 기피 경향도 걸림돌이다. 산업 안전 분석 업체 소터 애널리틱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중 제조업에 종사하고 싶다는 응답은 14%에 그쳤다. 낮은 임금과 노동조합 약화로 인한 근무 조건 저하가 주된 이유로 꼽혔다.

한편, 애플은 지난 2월 미국 내에 총 5000억 달러(약 684조원)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존슨앤드존슨, 머크, IBM 등도 자국 내 생산 확대에 나섰다. 미국 정부도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순방 이후 사우디아라비아가 미국 제조업에 6000억 달러(약 820조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보잉과의 30대 항공기 구매 계약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웰스파고는 “이같은 일회성 투자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대규모의 장기 투자가 수반돼야 진정한 제조업 부흥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