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무디스 신용등급 강등에 美 재정 불안 확대…시장 ‘빅 뷰티풀 법안’ 주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각)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스티브 위트코프 국제분쟁 조정 특사 임명 선서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각)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스티브 위트코프 국제분쟁 조정 특사 임명 선서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되면서 재정 불안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대규모 세제 및 재정정책 패키지인 ‘빅 뷰티풀 법안(Big Beautiful Bill)’의 향방에 주목하고 있다.

18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16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주요 3대 신용평가사 중 마지막으로 강등을 단행한 것으로 36조 달러(약 4경9384조원)에 이르는 미국 연방정부 부채 규모와 재정지출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무디스의 결정은 공화당이 장악한 미 의회가 세금 감면과 사회보장 축소, 국방 및 인프라 지출 확대를 포함한 법안을 추진 중인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안에 대한 통합을 촉구했지만 17일 열린 표결에서 의회는 주요 문턱을 넘지 못했다.
BMO 프라이빗 웰스의 수석 시장전략가 캐럴 슐라이프는 “의회가 ‘빅 뷰티풀 법안’을 논의하는 동안 채권 투자자들은 재정 책임성을 강하게 요구할 것”이라며 “무디스의 강등은 이런 경계심을 더욱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자들은 현재 법안이 최종적으로 어떤 형태로 통과될지 불확실성이 커지자 미국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재정감시 비영리단체인 ‘책임있는 연방예산위원회’는 이 법안이 2034년까지 3조3000억 달러(약 4517조원), 일시적 조항이 연장될 경우 최대 5조2000억 달러(약 7129조원)까지 추가 부채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추산했다.

TD증권의 미국 금리전략 책임자 게나디 골드버그는 “이번 강등은 대부분의 투자펀드에 즉각적인 매도 압박을 주지는 않겠지만 시장의 초점을 재정정책으로 다시 돌려놓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금리시장에서는 우려가 이미 반영되고 있다. 최근 10년물 미 국채의 기간 프리미엄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장기 채권에 대한 위험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뜻한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10년물 국채 수익률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17일 기준 수익률은 4.44%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전보다 0.17%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나틱시스 투자운용의 포트폴리오 전략가 개럿 멜슨은 “이미 재정적자가 심각한 상황에서 더 큰 적자 확대는 채권 수익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백악관은 무디스의 조치를 정치적 결정이라고 일축했다. 스티븐 청 백악관 공보국장은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수석이코노미스트 마크 잔디를 지목하며 “트럼프 대통령에 반대하는 정치적 인물”이라고 비판했다. 잔디는 무디스 본체와는 별개인 연구기관 소속으로 언급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일부 분석가들은 관세 수입과 일부 지출 상쇄 조치 등을 감안할 때 법안이 가져올 적자 규모는 예상보다 작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바클레이스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10년간 3조8000억 달러(약 5경2060조원) 수준으로 전망됐던 적자 증가폭이 최근 추산에서는 약 2조 달러(약 2734조원)로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 의회는 법안 처리와 별개로 연방정부 채무한도 상향 문제도 맞닥뜨려 있다. 하원의장 마이크 존슨은 현충일인 오는 26일 전까지 하원을 통과시키겠다는 입장이고 베선트 장관은 오는 7월 중순까지 채무한도를 인상하지 않으면 8월에는 정부가 지급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 8월 만기 재무부 단기채의 평균 수익률이 인접 만기물보다 높아지는 등 시장에서도 우려가 반영되고 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제자스 전략가는 “현실적인 법안은 단기적으로 재정적자를 확대시키겠지만 경제에는 의미 있는 자극을 주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겐하임 파트너스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앤 월시는 “지출 구조를 재편하려는 실질적인 논의가 워싱턴에서 이뤄지지 않는 한 미국의 재정 경로는 개선되기 어렵다”며 “지금의 방향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경고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