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중국, 무역전쟁 장기화 대비해 금리 인하·재정 확대 준비

공산당 신문 "충분한 완충 장치와 정책 유연성을 갖춘 비상 계획 마련" 자신감 표명
전문가들 "지준율·금리 인하 임박... GDP 1.5%p 하락 상쇄할 재정 지출 확대 필요"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 본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 본부. 사진=로이터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대적인 "호혜 관세" 공세에 맞서 다양한 정책 도구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과 투자자 심리 부양을 위한 자신감 표명으로 해석된다고 7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6일 저녁 논평을 통해 "공산당은 이미 미국의 새로운 경제 억압을 예상했고, 그 잠재적 영향을 철저히 평가했으며, 충분한 완충 장치와 정책 유연성을 갖춘 비상 계획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인민일보는 "앞으로 지급준비율 인하와 금리 인하 같은 통화정책 도구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배치될 수 있다"며 중국의 "거대 경제"가 이러한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이미 공식 재정 적자 비율을 상향 조정하며 지출 확대를 약속한 바 있으며, 인민일보 논평에서는 특별 채권 발행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또한, 소비, 주식 시장 및 미국 관세 인상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부문을 지원하는 정책이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고 전했다.
"우리는 내수를 두 배로 늘려야 하며, 소비를 성장 동력이자 안정제로 만들고 방대한 시장 규모를 활용해야 한다. 우리는 잠재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인민일보는 강조했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은 거의 모든 미국 무역 상대국에 대한 수입 관세를 인상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기존 관세를 합하면 약 65% 이상의 실효 관세율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은 10일부터 발효되는 모든 미국 상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미국 기업에 대한 새로운 무역 제한으로 반격했다.

모건스탠리의 로빈 싱 수석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의 누적 관세는 2018년과 2019년보다 훨씬 더 큰 성장 저해 요인이 될 것"이라며 "중국은 계획된 경기부양책을 가속화하고 곧 새로운 완화책을 도입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것이 관세 부담을 완전히 상쇄하지는 못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UBS는 중국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대한 지급준비율을 인하하고 향후 2개월 동안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스위스 은행은 올해 중국 정책금리가 최소 0.3% 또는 0.4%포인트 인하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UBS는 미중 간 보복 관세 인상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약 1.5%포인트 하락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미국 경제도 동일한 하락폭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중국은 GDP의 1%에서 1.5%포인트에 달하는 광범위한 추가 재정 지출이 필요할 것이라고 UBS는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무역 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대응이 단기적 위기관리를 넘어 경제 구조 조정과 내수 시장 강화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중국이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소비를 촉진하는 "쌍순환" 전략을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