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격화되는 美·中 '관세 전쟁'…"중국, 희토류 등 미국 맞춤형 보복 준비"

"8년 전과 다르다"며 협상 여지 남겨...WTO 제소는 실효성 의문
中 보복 수위 따라 상황 악화 가능성...양 국, 신중한 대응 주문도
로스 앤젤레스 항구의 크레인 뒤로 해가 지고 있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보복하겠다고 밝혔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로스 앤젤레스 항구의 크레인 뒤로 해가 지고 있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보복하겠다고 밝혔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10% 관세 부과 조치에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8년 전 첫 무역 전쟁 때와는 달리 WTO 제소와 희토류 수출 제한 등 다각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지만, 협상의 여지는 있다고 2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닛케이 아시아 등 아시아 언론들이 보도했다.

2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일방적 관세 인상은 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라며 "WTO 제소와 함께 상응하는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도 성명을 통해 "무역 전쟁에는 승자가 없다"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앞서 미 백악관은 1일 중국산 제품에 10%, 캐나다·멕시코산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800달러 이하 소액 상품에도 관세가 적용돼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쉬인과 테무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대응이 8년 전과는 차원이 다를 것으로 전망한다. 베이징 런민대학의 왕이웨이 교수는 "중국의 자급자족 능력이 강화됐고,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주도권도 확고하다"며 "희토류 등 미국이 의존하는 산업을 겨냥한 맞춤형 보복이 준비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은 작년 12월 갈륨, 게르마늄 등 군사용 핵심 광물의 대미 수출을 제한했고, 지난달에는 대만 무기 거래 관련 미국 기업 7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올렸다.
다만 WTO 제소의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APAC어드바이저스의 스티븐 오쿤 CEO는 "트럼프 행정부는 WTO 제소에 전혀 신경 쓰지 않을 것이며, 중국도 이를 알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양국이 극단적 대립은 피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번 10% 관세는 트럼프가 선거 기간 위협했던 60%에서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난양기술대학교의 딜런 로 교수는 "중국이 추가 보복을 야기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트럼프는 지난달 시진핑 주석과 "좋은 통화"를 했고, 100일 내 방중 의사도 밝혔다. 중국도 처음으로 한정 부주석을 미 대통령 취임식에 파견하는 등 대화 의지를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미·중 무역 규모는 2.1조 달러,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는 2,790억 달러(전년 대비 25% 감소)에 달한다. 핀포인트자산운용의 장즈웨이 이코노미스트는 "10% 관세가 중국 경제에 큰 충격은 아니지만, 이는 시작일 뿐"이라고 경고했다.

오쿤 CEO는 "중국의 보복 수위에 따라 상황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며 양측의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양국이 상호의존도가 높은 만큼, 강경 대응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협상의 문은 열어둘 것으로 전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