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중국 골프카트 업체들, 최대 1000% 관세 폭탄에 美 이전 '가속'"

"미국이 80% 이상 차지...생존 위해 현지 생산 불가피"
미국이 중국산 골프카트에 최대 10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 제조업체들의 미국 이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이 중국산 골프카트에 최대 10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 제조업체들의 미국 이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이 중국산 골프카트에 최대 10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 제조업체들의 미국 이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이 첫 성과를 거두는 모양새라고 2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중국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중국산 골프카트에 대해 최대 47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여기에 기존 반보조금 관세(최대 515%)까지 더해지면 일부 업체는 1000%에 가까운 관세를 물게 된다.
이는 작년 7월 미국 제조업체들의 청원으로 시작된 조사의 결과다. 그동안 10% 수준이던 관세가 수십 배로 급증하면서 중국 골프카트 산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은 2024년 약 279,000대(10억 달러 규모)의 골프카트를 수출했으며, 이 중 81%가 미국 시장이었다.

저장성의 한 제조업체 관리자는 "미국이 전체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생산라인을 해외로 이전하지 않으면 사업을 지속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에 중국 업체들은 앞다퉈 미국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저장타오타오차량은 지난해 10월 텍사스주에 골프카트 공장을 가동했으며, 칸디테크놀로지스는 올해 3천만 달러를 투자해 연간 5만대 규모의 생산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차오 마타오 저장타오타오차량 회장은 "당분간 중국이 미국 공장의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점차 베트남이나 미국 현지 조달로 전환할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미국 내 제조·조립이 최선"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가 트럼프 정부의 대중 압박이 실질적인 제조업 이전으로 이어지는 첫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다만 중국의 공급망을 완전히 대체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