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기획] 양평군, 첫 공설 화장시설 건립 추진...2027년 최종 입지 선정

군민들 사망 후 성남·원주·춘천 등 타지로 ‘원정 화장’ 불편
2023년 ‘종합장사시설 건립 추진계획’ 과천시와 공동수립
지난 2023년 11월 30일 정장선 양평군수가 종합장사시설 건립 주민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양평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3년 11월 30일 정장선 양평군수가 종합장사시설 건립 주민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양평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장례문화가 화장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장사시설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양평군에는 공설 화장시설이 전무해, 군민들은 사망 이후에도 성남·원주·춘천 등 타 지역으로 ‘원정 화장’을 떠나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이에 군은 군민 누구나 존엄한 이별을 지역 내에서 치를 수 있도록 ‘양평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망자 수, 2038년까지 연간 약 2100명에 이를 듯


9일 군에 따르면 현재 화장률은 이미 93%를 넘어섰으며, 사망자 수는 오는 2038년까지 연간 약 2,1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화장 수요 급증에 따라 타 지역 시설의 예약도 점차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실제로 경기도의 ‘3일차 화장률’은 2024년 66.8%에서 2025년 1월 기준 31.2%로 급락하며, 장례 이후 화장을 제때 치르지 못하는 유족들의 심리적·물리적 부담이 커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군은 이러한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난 2023년 ‘종합장사시설 건립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과천시와의 공동 건립을 결정했다. 공동 추진은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부담을 줄이며, 사업의 타당성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다만 추진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군은 그동안 세 차례에 걸쳐 후보지를 공개모집했지만, 신청 지역이 없거나 유치 철회로 이어지면서 사업은 장기간 답보상태에 머물렀다. 이면에는 님비(NIMBY) 현상과 주민 반대, 대표자에 대한 압박, 소통 부족 등 다양한 갈등 요인이 존재했다.

이에 따라 군은 2025년부터 사업 방식을 전면 수정해 ‘공모’ 방식에서 ‘추천’ 방식으로 전환, 누구나 적정 후보지를 제안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3월부터 6월까지 진행된 부지 추천 접수 기간 동안 총 18개 후보지가 제안됐고, 이 중 일부는 군의 자체 검토 대상으로 포함돼 현재 입지 타당성과 법적 제한 여부 등을 면밀히 분석 중이다.

군은 입지 선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설장사시설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했으며, 향후 심의와 타당성 용역을 거쳐 2027년 최종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부지 면적 6만㎡ 이상에 화장로 3기 규모 조성


계획 중인 종합장사시설은 부지 면적 6만㎡ 이상에 화장로 3기 규모로 조성된다. 이는 인근 지역 수요를 고려한 현실적 규모다. 여기에 봉안시설과 자연장지, 주민 편의시설 등을 함께 갖추고, 장례식장 대신 체육시설이나 공원 등 주민 친화형 수익시설을 도입해 지역사회 반감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특히 사업 규모도 기존 30만㎡에서 대폭 축소해 주민 수용성과 실행 가능성을 동시에 높였다.
군은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단순한 공공시설 설치가 아닌, “지역사회가 함께 만드는 사회기반”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24년부터 12개 읍면을 순회하며 주민설명회를 개최했고, 향후 후보지 선정과정에서는 주민대표, 전문가, 갈등관리자 등이 함께하는 ‘소위원회’를 구성해 주민 의견을 적극 수렴할 예정이다.

또한 카드뉴스, SNS, 포스터, 보도자료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정보 공개와 홍보를 병행하며 군민이 사업 전 과정을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 군은 후보지 분석 및 입지 검토를 마친 뒤, 2026년 상반기에는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같은 해 하반기부터는 1차 후보지 주민 소통에 착수할 계획이다.

최종 입지는 2027년 확정되며, 이후 본격적인 사업 착수가 이뤄져 2032년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진선 양평군수는 “종합장사시설 건립은 단순한 군민의 숙원사업 해결이 아닌, 양평군의 과거·현재·미래를 함께 준비하는 중요한 과제”라며 “사업 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과 함께 최선의 방안을 찾을 것이며, 군의 품격 있는 미래를 위해 반드시 추진되어야 할 사업인 만큼 군민 여러분의 깊은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지은 이지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tn311@naver.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