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조희연 “늘봄학교 지원실장으로 퇴직교원 등 고려해달라”

임기제 연구사 선발한다는 교육부 방침에…“현장 문제 우려”
“실장직 옮겨가는 경력 교원 많아지면 교육 질 저하될 것”

이민지 기자

기사입력 : 2024-06-23 09:00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달 24일 서울 강북구 성북강북교육지원청에서 열린 '교육감과 학부모가 함께하는 서울교육정책나눔'에 참석해 특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지난달 24일 서울 강북구 성북강북교육지원청에서 열린 '교육감과 학부모가 함께하는 서울교육정책나눔'에 참석해 특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늘봄학교 지원실장으로 퇴직 교원 등 인력을 활용해달라고 촉구했다.

조 교육감은 23일 성명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늘봄학교는 희망하는 모든 초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교육과 돌봄을 지원한다는 목적하에 기존의 돌봄교실과 방과후학교를 통합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부는 오는 9월 늘봄학교 전국 시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늘봄 지원실장 인력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단, 임기제 (교육) 연구사를 전국에서 2500여명 선발해 배치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조 교육감은 이를 두고 “학교의 실정을 반영하지 않은 일괄적 배치로 따르는 현장 적용 문제, 대규모 선발에 따른 행정·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며 “늘봄 지원실장에 퇴직 교원, 파견교사, 일반행정직, 행정교사, 임기제 공무원 등 다양한 인력 활용을 검토하거나 교사정원을 순증해달라”고 요청했다.

늘봄 지원실장으로 이동하는 경력 교원이 많아지면 교육의 질적 저하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 교육감은 우려했다. 임기제 연구사는 교육경력 5년 이상인 교원을 대상으로 선발한다.
조 교육감은 “늘봄 지원실 운영체제의 조직 및 인력 구성에 시도교육청의 자율권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만약 교육부가 임기제 연구사 배치를 확정하는 경우는 신규채용을 통해 전직 교원의 정원만큼을 순증해야 한다는 것이 조 교육감 입장이다.

조 교육감은 “교사 인력으로 늘봄 학교 관리 업무를 대체하는 상황을 사전에 막기 위해선 순증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나 교무, 예산 등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제1차 추가경정예산으로 편성한 12조4486억원 가운데 1347억원을 맞춤형 늘봄교실 운영에 사용하기로 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포르쉐 못지 않은 스펙, 또 다른 드림카 마세라티 그레칼레
전기차 고민이라면? 그냥 아이오닉 5 사~! 2024년형 아이오닉 5
혼다 신형 CR-V와 파일럿, 캠핑에 어울리는 차는?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