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1억 예금보호에 고객 몰린다… 대형 저축은행 ‘싹쓸이’ 나서

9월1일부터 예보한도 1억 원 상향
분산예치 줄면서 대형사 선호 심화
중소형사, 수신금리 인상 불가피
조달비용·보험료율 부담 ‘이중고’
다음 달 예보한도 상향을 앞두고 업계 양극화가 심화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사진은 한 저축은행 지점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다음 달 예보한도 상향을 앞두고 업계 양극화가 심화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사진은 한 저축은행 지점 전경. 사진=연합뉴스
다음 달 1일 ‘예금자보호한도’(예보한도)가 현행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상향되면서 대형 저축은행에 예금이 몰릴 전망이다. ‘큰손’ 예금자들이 규모가 크고 브랜드 파워가 강한 저축은행을 선택할 경우 대형사 쏠림이 심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신뢰도와 인지도가 낮은 중소형 저축은행은 이탈을 막기 위해 예금금리를 올리며 자금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18일 저축은행 업계와 한국신용평가 등에 따르면 오는 9월 1일부터 예보한도 상향을 앞두고 대형 저축은행 중심의 예금 이동이 더 두드러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올해 3월 말 기준 저축은행 전체 79개사의 예수금 잔액은 약 99조5600억 원으로, 이 중 총자산 5조 원 이상 대형 5개사의 점유율만 30% 이상을 차지한다. 자산 규모 1조 원 이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30개사의 예수금 점유율이 84%에 이른다.
상위 10개사의 수신 규모를 보면 업계 1위인 OK저축은행이 11조5734억 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SBI저축은행 11조 원, 한국투자저축은행 7조2775억 원, 웰컴저축은행 4조7778억 원, 애큐온저축은행 4조5372억 원, 다올저축은행 3조6349억 원, 하나저축은행 2조3852억 원, DB저축은행 2조3596억 원, 페퍼저축은행 2조3435억 원, 신한저축은행 2조2396억 원 순이다.

업계에서는 이미 수신시장이 대형 저축은행 중심으로 집중돼 있는데, 예보한도까지 늘어나면 양극화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예보한도가 5000만 원이던 시기에는 목돈이 있으면 여러 저축은행에 분산 예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한도가 1억 원으로 확대되면, 예를 들어 5억 원을 가진 고객이 굳이 10개 저축은행에 쪼개 넣지 않고, 인지도 높은 5개사 정도에만 맡겨도 충분히 보호받을 수 있다.

반면 신뢰도와 인지도가 낮은 중소형 저축은행은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 예금금리를 경쟁적으로 올릴 수밖에 없다. 실제로 저축은행 업권은 예수금 만기가 하반기에 몰려 있어 매년 7~10월 사이 정기예금 금리가 오르는 경향이 있는데, 올해도 4월 2.96%에서 7월 3.00%로 상승한 상황이다.
여기에 예보한도 상향까지 겹치면 자금 유치 경쟁이 불가피하게 가열될 수 있다. 특히 자금조달 여력이 열악한 중소형 저축은행은 금리를 올려도 충분한 자금을 끌어들이지 못할 경우 수익성 악화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수신금리가 높아지면 저축은행의 조달 비용이 늘어나는데, 이는 곧 순이자마진(NIM) 축소로 이어진다. 저축은행 NIM은 2023년 4.2%에서 2025년 1분기 4.7%까지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신금리 경쟁이 심해지면 조달금리가 다시 오르면서 회복세가 지연되고 수익성도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예금보험공사가 2028년부터 예금보험료율을 상향 조정할 예정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저축은행은 이미 업권 내 가장 높은 0.40%의 보험료율을 적용받고 있어, 추가 인상 시 수익성 관리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대출금리 상한으로 인해 예금보험료 인상분을 전부 예금금리에 반영하기도 쉽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예금자 입장에서는 안전망 강화라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저축은행 업권에서는 대형사로의 자금 쏠림과 중소형사의 자금 이탈, 수신금리 경쟁 심화, 순이자마진 악화 등 양극화를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