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44만 명서 40% 감소, 구직자는 50% 증가하는데 기업들은 '최소 인력' 전략
이미지 확대보기워싱턴포스트가 지난 12일(현지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구직자 수요는 늘어나는데 기업들의 채용은 오히려 줄어드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6만~36만 명 채용 전망…전년 대비 최대 40% 급감
미국 전국소매업연맹(NRF)은 올해 연휴 시즌 임시직 채용 규모를 26만5000~36만5000명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44만2000명과 비교해 최대 40% 감소한 수치다. 인력 컨설팅업체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도 올해 연휴 채용이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업체의 앤디 챌린저 수석부사장은 지난 9월 보고서에서 "소수의 기업만이 연휴 인력 충원 계획을 공개했다"며 "인플레이션 압박과 자동화, 정규직 인력 활용으로 대규모 임시 채용을 피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그는 "기업들이 연휴 시즌 판매 급증에 기대를 걸지 않고 있다"며 "올해는 적은 인력으로 많은 일을 처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직 사이트 인디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구직자들의 임시직 일자리 관심도는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고, 2023년과 비교하면 50% 이상 높아졌다. 수요는 늘어나는데 공급은 줄어드는 모순된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AI 효율화에 월마트 CEO "향후 3년간 인력 동결"
NRF의 매튜 셰이 최고경영자는 지난주 컨퍼런스콜에서 "소매업 임시 채용 감소는 노동시장 약화와 둔화를 보여주는 징후"라며 "AI가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NRF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매튜스는 "소매업계에서 해고가 줄어든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 자료를 보면 지난 10월 해고 규모는 경기 침체 수준을 기록했다. UPS, 아마존, 타겟 등 대형 업체들의 연쇄적 감원으로 올해 일자리 감축 규모가 100만 건을 넘어섰다.
월마트의 더그 맥밀런 최고경영자는 지난달 초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행사에서 "AI가 매장 직원부터 경영진까지 모든 업무를 바꿀 것"이라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지만 일부 업무와 직책은 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회사가 향후 3년간 전체 인력을 약 210만 명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소비 양극화에 '부자 고객 몇 명이면 충분' 판단
인디드 고용연구소의 앨리슨 슈리바스타바 이코노미스트는 "얼어붙고 불확실한 분위기를 반영한다"며 "임시직을 원하는 사람들은 늘어나는데 기업들은 긴박하게 채용하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 노동시장은 낮은 실업률과 이직률, 증가하는 해고와 둔화된 채용이 공존하는 기이한 상황을 보이고 있다. 기회가 줄어들면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어려운 구직 환경이 조성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NRF는 올해 11~12월 소비 지출이 1조 달러(약 1468조 원)를 넘어 기록적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74.7% 증가하는 규모다. 하지만 애널리스트들은 이 성장의 상당 부분이 인플레이션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한다.
슈리바스타바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소비 지출은 상대적으로 견고하지만, 부유층에 집중돼 있고 중산층과 저소득층은 소비를 줄이고 있다"며 "이런 조합은 일자리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100만 명이 1달러씩 쓰는 것보다 2명이 100만 달러(약 14억6800만 원)를 쓸 때 필요한 직원 수가 훨씬 적다"며 "임시 채용에 대한 기업들의 이런 판단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백화점 체인 콜스는 일부 임시직을 채용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타겟은 기존 직원들에게 추가 근무 시간을 제공하고 약 4만3000명 규모의 '온디맨드' 팀을 활용해 일정에 맞춰 근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지난 9월 블로그에 밝혔다.
소매업 임시직 채용 급감은 공식 통계상 낮은 실업률(4.36%)에도 실제 고용 현장은 얼어붙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최근 12월 금리 인하가 '기정사실'이 아니라고 밝힌 것도 실업률은 낮지만 기업들의 채용은 급감하는 이중적 노동시장 상황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으로 해석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