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만5000건…정부 셧다운 여파로 실업 증가 조짐

지난 2021년 9월 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에서 고용보고서 발표 후 열린 구인박람회의 안내 표지가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1년 9월 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에서 고용보고서 발표 후 열린 구인박람회의 안내 표지가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지난주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JP모건은 연방정부 셧다운(업무정지) 여파로 일부 조기 해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 신규 청구 23만5000건…전주보다 증가


JP모건의 자체 추정에 따르면 지난 4일로 끝난 주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계절조정 기준 23만5000건으로 직전 주의 22만4000건보다 늘었다.
연방정부 셧다운이 2주째 이어지면서 공식 통계 발표는 중단된 상태지만 주(州) 단위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JP모건이 추정치를 산출했다.

아비엘 라인하트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주 통계는 셧다운이 시작된 첫 주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며 “연방 공무원은 포함되지 않지만 과거 사례를 보면 셧다운의 경제적 여파가 민간 부문으로 번지며 청구 건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셧다운이 다음주까지 이어질 경우 청구 건수가 소폭 더 늘어날 수 있다”며 “다만 셧다운 효과를 제외하면 전반적인 청구 수준은 여전히 낮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 “노동시장, 고용도 해고도 없는 정체 상태”


라인하트는 “미국의 노동시장은 현재 ‘해고도, 신규 채용도 거의 없는 정체 모드’ 상태”라며 “무역·이민 정책 변화와 인공지능(AI) 확산이 노동 수요와 공급 모두를 제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실업수당을 한 주 이상 받은 수혜자는 지난달 27일 기준 192만7000명으로 전주의 191만9000명에서 소폭 늘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고용 회복 속도가 다소 둔화됐음을 시사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번 데이터는 연방정부의 공식 경제지표가 중단된 가운데 민간 기관의 추정치를 통해 파악된 것으로 향후 연방준비제도와 기업, 가계의 정책 판단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