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2금융 토지담보대출 연체율 30% 육박…PF 부실 정리에도 취약성 여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초기 단계에서 2금융권이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토담대) 부실이 심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초기 단계에서 2금융권이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토담대) 부실이 심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초기 단계에서 2금융권이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토담대) 부실이 심화하고 있다. 금융권 전체 PF 연체율은 소폭 하락했지만,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 상호금융 등 중소 금융사의 위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금융위원회가 25일 발표한 ‘부동산 PF 상황 점검회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 전체 PF 대출 잔액(118조9천억원) 연체율은 4.39%로 전분기보다 0.11%포인트 낮아졌다. PF 부실 자산 정리와 구조조정이 진행된 영향이다.

그러나 PF 초기 자금 조달에 활용되는 토지담보대출 연체율은 같은 시점 29.97%에 달했다. 대출 잔액이 2023년 말 29조7천억원에서 14조1천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음에도, 연체액은 2조1천억원에서 4조2천억원으로 두 배 증가했다. 이는 PF 초기 단계 리스크가 집중되는 2금융권의 취약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사업성 평가에서 ‘유의(C)’ 또는 ‘부실우려(D)’ 등급으로 분류된 여신 규모는 20조8천억원(전체의 11.1%)이었다. 이 중 12조7천억원은 이미 매각, 경매,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한 재구조화 등이 진행됐다.
금융위는 PF 시장 안정화를 위해 연내 제도 개선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PF 사업자 자기자본비율 20%를 기준으로 한 위험가중치 차등 적용 △거액 신용공여 규제 도입 △업권별 부동산 대출한도 재정비 등이다.

건설업계는 현행 시행사 자기자본비율과 괴리가 크다며 단계적 적용과 충분한 유예기간을 요구하고 있으며, 금융권도 위험평가 시 자기자본비율 외에 분양률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