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미국, EU에 '中·인도 100% 보복관세' 압박…러시아 전쟁자금줄 차단

러시아산 원유 구매가 표적…미국, EU 부과 시 동일 관세 적용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가로막히자, 대러시아 경제 압박 수위 높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의 전쟁 자금줄을 차단하기 위해 유럽연합(EU)에 중국과 인도를 겨냥한 100% 보복 관세를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사진=오픈AI의 챗GPT5가 생성한 이미지.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러시아의 전쟁 자금줄을 차단하기 위해 유럽연합(EU)에 중국과 인도를 겨냥한 100% 보복 관세를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사진=오픈AI의 챗GPT5가 생성한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을 상대로 중국과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하라고 요구했다. 이는 러시아의 전쟁 자금줄을 막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려는 새로운 전략으로, 외교를 통한 해법이 막히자 '관세 무기'로 방향을 튼 것이다.
지난 9일(현지시각) CNBC와 파이낸셜 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과 EU 고위급 회의에서 이같이 요청했다. 이 문제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은 미국 정부가 유럽이 실제로 관세를 부과하면, 똑같이 적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백악관은 관련 논평 요청에 즉각 응하지 않았다.

미국의 이번 제안은 러시아와 평화 협상 중재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며 외교 해법 마련에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나왔다. 미국은 이미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대량 수입을 이유로 인도산 수입품에 25%의 추가 징벌 관세를 부과해 총 관세율을 최대 50%까지 끌어올린 바 있다.

◇ '불공정' 비판에도…이미 인도에 징벌 관세 부과한 미국


이에 인도 정부는 해당 관세가 "불공정하고 부당하며 불합리하다"고 반발하며, 오히려 러시아와 교역을 계속하는 미국과 EU의 이중 잣대를 비판해왔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자료를 보면 2024년 EU와 러시아의 상품 교역액은 675억 유로(약 781억 달러)에 이른다.

특히 인도의 대러시아 교역은 급증하는 추세다. 주러시아 인도 대사관에 따르면 2025년 3월 마감된 회계연도 기준 원유가 주요 거래 품목으로 자리 잡으면서 양국 교역액은 687억 달러로, 코로나19 세계적 유행 이전(101억 달러)보다 5.8배 가까이 폭증했다.

중국은 러시아산 원유의 최대 구매국으로, 서방 제재로 값싸진 원유를 대량 수입해왔다. 현재 중국은 '2차 제재' 성격인 관세는 피하고 있다. 미국과 협상을 통해 자국산 제품에 대한 신규 관세를 30%로 낮추는 데 합의했기 때문이다.

◇ 평화협상 난항에 외교 해법 대신 '관세 카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강도 관세 압박은 지난달 알래스카에서 열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이 우크라이나 휴전 문제에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자 나온 후속 조치다. 당시 푸틴 대통령은 공동 기자회견에서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해선 분쟁의 근본 원인이 해결돼야 한다"는 원칙적인 태도를 되풀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직후 "합의한 지점이 아주 많았지만, 아직 완전히 도달하지 못한 두어 가지 큰 문제가 있다"고 말하며 협상이 어려움을 겪었음을 내비쳤다. 그러나 EU가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중국과 인도는 EU의 핵심 교역 상대국으로, 100%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면 그 타격이 유럽 경제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의 평화 중재 노력이 헛도는 사이, 푸틴 대통령은 지난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의를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유대를 다지며 미국에 맞서는 공동 전선을 강화하는 모양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밤 엑스(X)를 통해 "모디 총리는 아주 좋은 친구"라며 "미국과 인도가 무역 장벽 해소를 위한 협상을 다시 시작했으며, 성공적인 결론에 이를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은 8월 말 리청강 중국 측 수석대표가 워싱턴을 방문했음에도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와는 '우호적 협상'을, 중국과는 '경직된 압박' 기조를 유지하며 러시아 제재에 힘을 모으라고 압박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