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애플, 초박형 '아이폰 에어' 등 아이폰17 시리즈 공개...시장 반응은 '밋밋'

팀 쿡 “게임 체인저” 강조 불구...투자자들 "AI 혁신 부재" 지적
9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의 애플 파크 캠퍼스에서 열린 아이폰17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 고객이 새로운 '아이폰 에어'를 손에 들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9일(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의 애플 파크 캠퍼스에서 열린 아이폰17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 고객이 새로운 '아이폰 에어'를 손에 들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애플이 9일(현지 시각) 차세대 아이폰17 라인업을 공개하며 새롭게 디자인된 초박형 모델인 ‘아이폰 에어(Air)’를 선보였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본사에서 'AWE Dropping'(경탄을 불러일으키는)이라는 슬로건 아래 열린 행사에서 아이폰17 신제품과 함께 최신형 스마트워치와 고급형 에어팟 신모델도 공개했다.

신형 아이폰 시리즈의 가격은 표준모델 기준 799달러(약 110만 원)로 기존 모델의 가격과 동일하다. 프로(Pro) 모델은 가격이 1099달러(약 152만 원)로 100달러 인상된 가운데 저장 용량이 두 배로 늘어났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아이폰 에어 모델 가격은 999달러(약 138만 원)다.

애플은 아이폰17의 내구성과 카메라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어 아이폰 에어 모델은 양면에 세라믹 실드를 적용해 내구성을 강화했고, 두께는 5.6㎜이며 “매우 가볍다”고 설명했다. 이는 올해 초 삼성전자가 출시한 갤럭시 S25 엣지(5.8㎜)보다 얇다. 또한 애플이 자체 설계한 블루투스·와이파이 칩과 고속 모뎀도 탑재됐다.
프로 모델의 경우 새로운 알루미늄 디자인과 발열을 줄이는 시스템이 채택됐고, 성능은 아이폰16 프로보다 40% 향상됐다. 프로 모델에도 양면 세라믹 실드가 적용됐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발표에서 “아이폰 에어가 완전히 새로운 게임 체인저”라고 밝혔다.

애플의 자체 평가에 반해 이날 신제품 공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미지근했다. 블룸버그는 이미 아이폰 에어 모델과 일부 신기능이 사전에 보도된 탓에 애플의 이번 발표가 시장에 큰 놀라움을 선사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투자자들의 반응도 밋밋했다. 뉴욕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이날 1.48% 내린 234.3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애플 주가는 올해 들어 6% 넘게 하락했다.
애플은 최근 몇 년 동안 스마트폰 수요가 둔화하고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 가운데 자사의 최대 수익원인 아이폰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다시 끌어올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애플은 특히 중국 등지에서 경쟁이 치열해진 상황에서 새로운 혁신이 절실한 상황이다.

미국 IT 시장조사업체 퓨처럼 그룹(Futurum Group)의 대니얼 뉴먼 최고경영자(CEO)는 애플의 아이폰17 출시가 “매우 어려운 시기에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뉴먼 CEO는 이날 CNBC에 출연해 “애플의 문제는 현재 공개되는 혁신이 사실상 점진적인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라면서 “아이폰이 더 얇아지고, 디자인도 훌륭하지만 지난 4년간의 대규모 ‘슈퍼사이클’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해 애플이 강조했던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가 대규모 교체 수요를 일으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방대한 이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애플이 인공지능(AI)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가장 긴 준비기간’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장기적 잠재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평가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