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12조 소비쿠폰 개시] 카드 써도 사실상 수수료無…또 카드사만 ‘적자’

가맹점수수료 0%대인데…정부, 더 낮춰라 ‘압박’
긴급재난금 당시에도 30% 소비 개선 불구 ‘손실’
엎친 데 덮친 격 카드론 규제까지…수익성 개선 험난
12조 원 규모의 소비쿠폰 지급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의 수익성 개선이 저조할 거란 분석이다. 지난 10일 삼미시장 풍경. 사진=시흥시이미지 확대보기
12조 원 규모의 소비쿠폰 지급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의 수익성 개선이 저조할 거란 분석이다. 지난 10일 삼미시장 풍경. 사진=시흥시
정부의 소비쿠폰 지급에 힘입어 체크·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나지만, 정작 카드업계 순이익 개선에는 큰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이미 낮아질 대로 낮아진 가맹점수수료에 더해 이마저도 우대수수료 적용으로 대부분 소상공인에 환급하는 만큼 실질적인 이익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카드사들은 소비쿠폰 유치를 위해 서버 증설과 가맹점 분류 작업 등 투자금이 늘어나는 점도 부담이다.
20일 여신업계 등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카드사에서 순이익 개선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은 분위기로 전해진다. KB·NH·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BC카드 등 9개 카드사들은 현재 고객 유치를 위해 문자메시지와 모바일앱 등을 통해 소비쿠폰 신청을 안내하고 있다.

업계 1위 신한카드의 경우 이용 편의성뿐만 아니라 SOL페이 앱에서 주요 사용처에 대한 위치도 제공하며 고객 유치에 나섰고, 삼성카드 등도 스마트폰 앱을 통해 소비쿠폰 지급을 삼성카드로 받아달라며 구애에 나섰다.

그러나 적극적인 마케팅과 달리 속내는 다르다. 소비쿠폰 유치를 위해 서버 증설과 가맹점 분류 작업 등 투자한 비용 대비 순이익 규모가 사실상 ‘제로’에 가깝기 때문이다. 지난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의 경우 약 70%가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만큼 이번에도 카드를 통한 쿠폰 사용이 대부분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수수료 구조다. 정부는 최근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카드사에 가맹점 수수료 인하를 요구한 바 있다. 신용·체크카드를 통한 소비쿠폰 사용처는 연 매출액 30억 원 이하인 전통시장, 동네마트, 식당 등 소상공인 업종이다.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소상공인 업종은 대부분 영세·중소 가맹점으로 현재도 우대수수료율이 적용되고 있는데, 소비쿠폰 취지를 고려해 수수료율을 추가로 인하해 달라는 것이다. 현재 연 매출액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업종의 일반 신용카드 우대 수수료율은 0.40∼1.45% 수준이다. 이런 상황에서 수수료율을 추가로 인하할 경우 손실이 불가피하다.

물론 내수진작 효과는 어느 정도 입증돼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을 보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직후 신용·체크카드 매출액이 약 4조 원 증가했고, 이는 투입 대비 약 30%의 소비창출 효과를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 등 7개사에서는 되레 약 80억 원 규모의 손실을 봤다. 수수료가 워낙 낮아 마진을 남기지 못한 셈이다. 소비쿠폰 지급 기한이 종료되더라도 카드사의 수익은 개선되기 어렵다. 영세·중소 가맹점에서 받아 가는 수수료율은 매년 낮아지는 추세다. 올해 2월에도 가맹점 수수료율이 인하되며 영세·중소 가맹점의 신용카드 수수료율은 0.05~0.1%포인트, 체크카드는 0.1%포인트 떨어졌다.
여기에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신용대출 한도가 연 소득의 100% 이내로 제한된 가운데 카드론도 규제 대상에 포함하면서 예년처럼 대출 사업을 통한 수익 개선을 추진하기도 어렵다. 업계 한 관계자는 “내수 진작을 유도하려는 정부 정책 취지에 공감하기 때문에 참여하는 것일 뿐, 수익 사업이라고 판단하는 카드사는 없을 것”이라며 “올해 가맹점수수료는 더 낮아졌고, 카드론도 규제하는 만큼 수익성 개선을 두고 고심이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