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개최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화석연료 옹호 국가에서 COP이 개최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지난주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린 COP29를 둘러싼 논란에서 비롯됐다.
아제르바이잔은 석유와 가스 수출이 국가 경제의 90%를 차지하는 주요 화석연료 생산국이다. COP29 개최 결정 당시부터 '적합성' 논란이 있었지만, 결국 아제르바이잔에서 COP29가 개최되었다.
하지만 COP29 기간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이 석유와 가스를 "신의 선물"이라고 칭찬하면서 논란이 더욱 확산했다. 이는 COP의 목적과 정신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저명한 과학자들과 정치인들은 유엔에 공개서한을 보내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를 지지하지 않는 국가에서 COP이 개최되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한에는 상드린 딕슨-데클레브 로마 클럽 세계 홍보대사, 요한 록스트롬 포츠담 기후 영향 연구소 소장,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이 서명했다.
이들은 "28차례의 COP에도 불구하고 지구 온난화는 멈추지 않았다"며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화석연료 로비가 기후 협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화석연료 찬성 국가는 COP 개최 자격을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29에는 석유, 가스, 석탄 산업계 로비스트 최소 1773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었다. 이는 지구 온난화에 가장 취약한 10개국 대표단 전체보다 많은 숫자다.
'바쿠에서 대규모 오염 기업을 몰아내자' 연합은 "화석연료 로비스트들이 기후 협상에 지나치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COP의 투명성을 높이고 화석연료 로비스트들의 영향력을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 개최 기준 강화 요구는 기후 변화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인식 변화를 반영한다. 화석연료 시대의 종식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COP가 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COP29 개최를 둘러싼 논란은 한국 사회에도 '기후변화 대응 리더십'을 강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화석연료 단계적 폐지, 기후 회담 투명성 확보 등 국제 사회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탈탄소' 정책 이행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COP29에서 화석연료 단계적 폐지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한국 정부도 '탈탄소' 정책 이행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탄소 포집·저장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하여 '2050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매진해야 한다.
COP 회담에서 화석연료 로비스트들의 영향력 축소 요구는 한국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하는 메시지다. 한국 시민사회는 COP 회담 감시, 정부 정책 비판 및 대안 제시 등을 통해 '기후 회담 투명성'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
한국은 COP28 유치 경쟁에서 아랍에미리트에 패배했지만, 향후 COP 유치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선도 국가'로 도약할 기회가 있다. 또한, 개발도상국 기후변화 대응 지원, 기후 기술 협력 등 국제 사회 기여 확대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