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직후 미국 주식시장은 시가총액이 1조6200억 달러 급증하며 역대 다섯 번째로 큰 하루 상승 폭을 기록했다. 미국 주식시장의 역대 최대 시가총액 상승 기록을 살펴보면, 2020년 3월 13일의 2조2460억 달러가 가장 컸고, 2022년 11월 10일 2조1640억 달러, 2020년 3월 24일 2조1270억 달러, 2020년 4월 6일 1조7850억 달러에 이어 이번 대선 직후의 상승이 5위를 기록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친시장 정책과 대규모 감세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고 6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가 보도했다.
◇ 규제 완화와 M&A 활성화 기대
시장은 금융과 중소형주가 급등세를 보이며 주도하고 있다. KBW 은행지수는 11% 상승했으며,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지수는 5.8% 올랐다. 웰스파고(13%)를 비롯해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도 10% 이상 상승했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의 엄격한 금융규제가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또한, 기업 인수합병(M&A) 시장도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반독점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기술기업들의 시가총액도 4750억 달러나 증가했다.
◇ 대규모 감세와 소비자 금융정책 변화 예상
이러한 정책 변화는 광범위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감세 정책 연장으로 전체 납세자의 80%가 세금 혜택을 받게 되며, 부유층은 상속세 완화로 최대 1400만 달러까지 비과세 상속이 가능해진다. 신용카드 금리 상한제는 소비자 부담을 경감시키는 반면, 학자금 대출 탕감 중단은 약 480만 명의 미국인들에게 영향을 미쳐 1750억 달러 규모의 채무 부담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정책들에 대해 공화당 지지층과 월가는 경제 활성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를 환영하는 반면, 민주당 지지층과 진보 언론들은 부의 양극화 심화와 중산층 부담 가중을 우려하며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 시장의 우려와 전망
한편, 트럼프 정책이 인플레이션 악화와 재정적자 확대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를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중앙은행의 목표치를 상회하고 있어 연준의 통화정책 운신의 폭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신중한 입장이다. 또한, 보호무역 강화와 달러 약세 정책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트럼프의 친시장적 정책에 주목했다. 선거 당일을 기점으로 재정, 에너지, 산업재 등 대부분 업종이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 2000지수는 약 2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낙관론을 반영했다.
향후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친시장적 정책과 감세를 통해 경기부양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라는 구조적 과제 해결이 성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시장은 당분간 정책 기대감으로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실제 정책 이행 과정에서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