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과 제너럴모터스(GM) 등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구조조정으로 몸집 줄이기에 나선 반면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노동조합은 이런 글로벌 추세에 역행하며 기존보다 인력을 늘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평균 1억원을 웃도는 고연봉과 최고의 복리후생으로 '킹산직(King+생산직)'이라는 별칭이 붙은 현대차와 기아의 생산직 신규 채용이 내년 도합 1300명 규모로 이뤄진다.
현대차 노사는 올해 임금협상(임협)에서 내년 500명, 2026년 300명의 생산직을 채용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지난해 교섭에서 합의된 내년 300명 채용을 포함하면 내년 채용 인원만 800명이다.
기아 노사의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잠정합의안에도 내년 500명의 생산직 추가채용이 포함됐다. 지난 12일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잠정합의안이 부결됐지만, 재교섭이 이뤄지더라도 채용 규모가 늘면 늘었지 이보다 줄어들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문제는 이번에 노조와 약속한 인력보충이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과 사무직은 제외된다는 점이다. 오직 생산직 인력을 늘리는 게 노조의 요구다. 사측으로서도 일부 신규 인력채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늘 노조의 압박에 못 이겨 생산직 채용을 과하게 늘리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 노조는 매년 정년연장도 요구하고 있다. 임금피크제 등 인건비 부담을 완화할 장치를 제거된 상황에서의 정년연장이다. 노조의 요구대로 정년이 연장돼 자연감소가 늦춰지고 매년 신규 채용으로 생산직이 대거 유입되면 잉여인력이 대규모로 발생한다.
주력 제품의 무게중심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이동하면 기존보다 필요한 인력이 현격히 줄기 때문이다. 제조업체에 있어 생산 수요 이상의 잉여인력 보유는 불필요한 고정비용 지출 요인으로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
이런 문제를 대비해 폭스바겐을 비롯해 GM 등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수년 전부터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폭스바겐은 독일 공장을 폐쇄하고 인력 감축에, GM도 글로벌 공급망 조정을 통해 인력 조정에 각각 나섰다. 하지만 현대차와 기아 노조는 이런 글로벌 움직임과 무관하게 인력 증원을 주장하며 시대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에 나온다.
현대자동차 노조는 '정년 연장'을 위해 TFT를 조성하고 협상에 나선다. 현대차 노조는 수년째 사측에 정년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임단협에도 현행 만 60세 정년을 국민연금 수급과 연계해 만 64세까지 연장하는 내용을 요구안에 담았으나 사측 입장에서 정년 연장은 1년에 수천억원 비용 발생으로 이어지는 만큼 정년 연장 요구안은 수용되지 않았다.
노조는 정년 연장 안건을 포함한 '단협 후속조치' 처리를 하반기 핵심 사업으로 정하고,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다음 달 노사 정년연장 TFT가 구성되고, 11월까지 노조 내부적으로 정년퇴직 가이드북을 제작하고 배포한다는 게 노조 집행부 계획이다. 노조는 이번 협상을 통해 정연연장과 함께 근로시간 단축 등을 논의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전기차로 주력 상품이 변화하면 현재보다 필요한 생산인력은 줄어들지만 생산직 인력충원은 미래 경쟁력에 도움이 안 된다"며 "회사가 있어야 노조 역시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