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10일(현지 시각) 미국에서 개최한 연례 세계개발자회의 ‘WWDC 2024’에 스마트폰은 물론, 인공지능(AI) 관련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이번 행사 기간 애플이 올해 신형 아이폰에 탑재될 자사의 새로운 AI 기능을 대대적으로 공개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애플은 이번 WWDC에 앞서 생성형 AI 분야의 선두 주자 오픈AI와 협력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더욱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해 ‘챗GPT’로 IT 업계 전반에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킨 오픈AI는 명실상부한 생성형 AI 분야의 선두 주자 중 하나다.
다만 WWDC에서 선보인 애플의 생성형 AI 기술이 실제로는 ‘반쪽짜리’라는 우려도 나온다. 애플의 이름을 달고 나오지만, 오픈AI의 AI모델을 애플 입맛에 맞춰 살짝 수정한 것일 뿐, 진정한 자체 개발 AI 모델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 애플의 행보와 관련이 깊다. 지난해 챗GPT가 대성공을 거두자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아마존, 메타 등 내로라하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앞다투어 AI 산업에 뛰어들고 수십억~수백억 달러 규모의 어마어마한 투자를 단행했다.
유독 애플은 이러한 생성형 AI 열풍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사용자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생성형 AI는 ‘사용자 경험(UX)’을 최우선으로 하는 애플의 철학과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생성성 AI에 집중 투자한 MS의 시가총액이 처음으로 애플을 추월하고, 삼성전자가 갤럭시 S24 시리즈를 발표하며 ‘AI 스마트폰’ 시장을 선점하자 비로소 애플도 비상이 걸렸다. 10여 년에 걸쳐 지지부진한 애플 카 사업을 정리하고 관련 인력을 자체 AI 개발에 투입하는 등 뒤늦게 생성형 AI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이미 경쟁사들과 1년 이상 격차가 벌어진 뒤였다.
시작이 이러니 애플의 자체 생성형 AI 개발도 순탄치 못한 상황이다. 생성형 AI의 핵심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인데, 이는 단기간에 인력과 돈만 투자한다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본격적으로 LLM을 개발하려면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와 △이를 기반으로 AI 모델의 학습 및 훈련을 수행할 대규모 데이터센터 △훈련한 AI 모델의 검증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애플 특유의 폐쇄된 사용자 생태계에서 확보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양과 질은 한계가 있고, 경쟁사와 비교해 빈약한 자체 데이터센터 규모는 애플의 생성형 AI 개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델오로에 따르면 애플이 전 세계에서 운영하는 데이터센터 수는 36곳으로, 300개 이상을 보유한 MS나 구글 등에 비해 크게 밀리는 형편이다. 고작 반년이라는 시간도 본격적인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는 데는 턱없이 부족하다.
결국 애플이 오픈AI와 손잡고 GPT-4 등 최신 AI 모델을 도입하기로 한 것은 올해 내로 자체 생성형 AI 모델 개발이 불가능함을 자인한 것이나 다름없다. 늦어도 올해 가을 선보이는 차세대 ‘아이폰 16(가칭)’에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하려면 타사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다.
실제로 애플은 오픈AI와 손잡기에 앞서 구글과도 생성형 AI ‘제미나이’를 탑재하기 위한 협상을 추진한 바 있으며, 이는 아직 진행형이다.
게다가 오픈AI만 하더라도 지난해 GPT-3, GPT-3.5를 거쳐 올해 ‘멀티모달(텍스트·이미지·음성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동시 처리할 수 있는 모델)’을 지원하는 GPT-4와 개선 버전인 GPT-4o를 잇달아 선보이면서 애플 등 후발 주자들과의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 따라서 애플이 자체 AI 모델 개발에 성공한 후에도 당분간 오픈AI나 구글의 AI 모델을 병행해 사용할 전망이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