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직장인 대부분이 회식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술자리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알바앱 알바콜이 20, 30대 직장인 회원 796명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한 결과, 70.8%가 회식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했다.
스트레스를 느끼는 이유는 ‘귀가 시간이 늦어져서’(25.9%·복수응답), ‘자리가 불편하기 때문’(23.8%), ‘재미없음’(17.3%), ‘자율적인 참여 분위기가 아니기 때문’(16.7%), ‘회식이 잦기 때문’(5.6%) 등으로 조사됐다
여성이 74%로 남성의 67.5%보다 회식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직장인이 원하는 귀가 시간은 회식이 오후 6시에 시작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1순위가 ‘오후 8시’(41.2%), 2 순위는 ‘오후 9시’(30.0%)였다.
‘자리가 파할 때까지’라고 밝힌 응답자는 2.6%에 불과했고 ‘아예 회식을 안 했으면 좋겠음’, ‘한 시간 안에 밥만 먹고 가면 안 되나’ 등의 의견도 있었다.
이들이 선호하는 회식의 빈도수는 두 달에 한 번(월평균 0.5회), ‘1차’(71.2%)로 나타났다.
원하는 회식 방법에 대해서는 ‘점심 식사를 이용한 맛집 탐방’(28.4%)과 ‘음주문화가 없는 간단한 저녁 식사’(27.6%)가 1, 2위를 차지했다.
‘술자리’는 9.9%로 전체 응답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