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증시전망] "반도체·바이오·고배당주 주목"…한양증권 PB들, 추석 후 반등 기대

이미지=한양증권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한양증권
국내 증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프라이빗 뱅커(금융회사 고액 자산 관리자)들은 투자 전략에서 신중함을 유지하면서도 반도체와 바이오,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코스피 지수가 3600을 넘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미국 증시조정, 환율, 금리와 환율 변동성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한양증권(대표이사 김병철)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국 주요 지점의 프라이빗뱅커(PB) 40명을 대상으로 벌인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연휴 이후 증시 상승 가능성"…응답자 절반 이상 '긍정적'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5%는 "추석 연휴 이후 국내 증시가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박스권 등락을 예상한 응답은 35%, 하락을 우려한 응답은 10%에 그쳤다. 이는 연휴 기간 중 대외 변수에 대한 우려보다는 정책 기조에 따른 긍정적 흐름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응답자 중 62.5%는 연말 코스피 지수가 3,600포인트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가장 많은 비중은 3,600~3,800P(37.5%) 구간에 몰렸고, 3,400~3,600P(25%) 및 3,800~4,000P(15%) 등 낙관적인 응답이 두드러졌다.

투자 전략 "신중하되 구조적 성장 업종에 집중"

'연휴 대비 투자 전략 변화'에 대한 질문에 47.5%는 "이전과 큰 차이 없다"고 응답했다. 나머지는 '현금 등 안전자산 비중 확대'(27.5%)와 '주식 등 투자자산 비중 확대'(25%)로 양분되었다. 이는 단기 시황보다는 구조적 성장성 및 정책 변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특히 투자 유망 업종으로는 △반도체(29.4%) △제약·바이오(18.6%) △고배당주(13.3%) △금융(12.4%) △자사주 소각 관련주(8%) 등이 꼽혔다. 한양증권 관계자는 "고객들이 단기 테마보다는 중장기 성장성과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은 업종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 기대 요인 '밸류업 정책·금리 인하' 주목

시장 낙관론의 배경에는 정부 정책과 글로벌 금리 기조가 자리하고 있다. 응답자들은 시장 기대 요인으로 △밸류업 정책(19.2%) △기준금리 인하(19.2%) △AI·반도체 산업 성장(18.3%) △외국인 자금 유입(18.3%) 등을 꼽았다. 특히 배당소득 분리과세 완화와 자사주 소각 확대에 대한 기대도 적지 않았다.

반면, 시장의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 증시 조정 및 경기 둔화(34.7%) △관세 리스크(33.3%) △금리·환율 변동성(14.7%) △지정학적 리스크(8%) 등이 지목됐다. 이는 대외 변수에 대한 경계심이 여전히 투자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보 전달과 맞춤형 전략에 집중할 시기"

한양증권의 한 PB는 "경기 반등 기대와 정책적 기조가 맞물리며 시장에 대한 낙관론도 커지고 있지만, 투자 전략에 있어서는 신중한 균형 감각이 필요하다"며 "고객들이 흔들리지 않는 투자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PB로서 정교한 정보 제공과 맞춤형 전략 제시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한양증권은 이번 PB 설문조사 결과를 내부 전략 기획 및 고객 서비스 고도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