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철강주인 동국제강은 지난 19~21일 주가는 14.16%(1240원) 오른 964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외에도 철강 대장주인 현대제철과 POSCO홀딩스도 각각 9.52%, 9.09% 오른 2만6400원, 28만2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같은 상승세는 정부가 중국산 후판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야한다는 예비 판정결과를 내놓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같은 기간 HD현대중공업(-13.26%), 삼성중공업(-9.23%), 한화오션(-6.65%) 등 조선주 3사는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냈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 20일 중국산 후판에 대한 예비 결과 덤핑 사실과 국내 산업의 피해를 추정할 근거가 있다고 예비 판정하고, 27.91%~ 38.02%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
한편 국내에서는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사가 후판을 생산한다.
업체마다 다르지만 전체 철강 제품 생산에서 후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10∼15% 안팎이다.
업계 1위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 각각 340만t, 250만t 규모의 후판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2023년 기준 해외 공장을 포함해 총 660만t의 후판을 생산했으며 작년에는 3분기까지 485만t을 생산했다.
2위 업체인 현대제철은 전체 연 200만t 규모의 후판을 생산한다.
동국제강도 금액 기준으로 전체 매출 약 4조원 가운데 4000억원가량이 후판에서 발생한다.
국내 후판 시장 수요는 연간 약 800만t 안팎으로 추정된다. t당 100만원 수준인 후판 가격을 고려하면 국내 후판 시장은 연 8조원 규모다.
철강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후판 수요는 780만t으로, 이 가운데 중국산 후판 수입 물량이 16.6%(약 130만t)에 달했다.
중국산 후판 가격은 국산에 비해 30∼40% 안팎으로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역위가 최대 38%의 잠정 덤핑 방지 관세 부과를 결정한 것도 이 같은 시장 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조선업체의 선박 수주 계약 대부분이 헤비테일 계약(선수금을 적게 받고 인도 대금을 많이 받는 형태의 계약)인 것을 고려하면 이번 반덤핑 관세 조치로 중국산 후판 가격이 높아질 경우 중소형 조선사들의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 조선업체 관계자는 "후판은 선박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고 있어 수익성과 직결된다"며 "반덤핑 관세로 중장기적으로 후판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이는 중국과 경쟁해야 하는 국내 조선사들의 원가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국내 철강사들은 중국산 저가 후판이 밀려들면서 시장이 교란되고 이로 인한 수익성 악화로 영업이익이 줄어들고 있다고 호소해왔다.
동국제강의 경우 2010년대 초반 중국산 저가 후판이 국내로 밀려들면서 업황이 악화하자 일부 후판 공장 문을 닫는 등 생산을 줄이기도 했다.
철강업계는 이번 조치로 후판 시장이 정상화되면서 후판 가격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철강사 관계자는 "중국산 후판 공급과잉으로 국내 시장에 저가재가 범람하면서 후판 가격을 같이 떨어뜨려 국내 업계도 치킨게임을 벌이며 수익이 악화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이번 조치로 시장을 지키고 수익성을 개선할 여지가 생겼다"며 환영했다.
다른 철강사 관계자도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정부도 판단한 것 같다"며 "중국산 저가 제품으로 교란됐던 시장이 정상화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성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328sy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