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샌즈랩, 딥페이크 탐지 서비스 '페이크체크' 출시...주가 18% 급등

샌즈랩의 딥페이크 탐지 서비스 분석 사례  사진=샌즈랩이미지 확대보기
샌즈랩의 딥페이크 탐지 서비스 분석 사례 사진=샌즈랩

최근 딥페이크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이를 탐지하는 기술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인공지능(AI) 기반 보안기업 샌즈랩은 생성형 AI 역기능 중 하나인 딥페이크를 탐지하는 서비스 페이크체크(fakecheck.io)를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해당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식시장에서 샌즈랩 주가는 오전 11시 33분 현재 18% 넘게 상승해서 거래중이다. 시가총액도 이날 급등으로 1500억원을 돌파했다.

페이크체크는 사용자가 직접 웹사이트에 접속해 딥페이크가 의심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수 초 내로 위조 진위 여부를 분석해 판별 결과를 알려준다.

본 기자도 해당 웹 싸이트에 접속해 사진을 테스트 해보니 순식간에 결과를 내놓았다. 특히, 사용환경이 매우 쉽고 직관적이었다.

샌즈랩 관계자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회원가입이나 인증 등 번거로운 절차들을 없애고 순수한 기능에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며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샌즈랩은 현재 국민들이 직면한 사회적 이슈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보태기 위해 해당 서비스를 자체 구축하고 유지하는데 드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모든 비용을 사회 공헌 차원에서 직접 부담하기로 했다.

당장의 서비스 수익보다 딥페이크로 인한 2·3차 피해 확산 방지가 우선이라는 판단에서다.

샌즈랩은 당초 생성형 AI 역기능 탐지 및 대응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페이크체크와 같은 기능의 국민 체감형 플랫폼을 구축하는 국가 과제를 수행하고 있었으나, 착수 이후 반년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AI 역기능이 사회적 문제로 심화됨에 따라 디지털 범죄 근절과 국민 불안을 불식시키기 위한 사회적 기업 차원에서의 책임감에 따른 노력의 일환으로 서비스를 민간에 개방했다.

페이크체크는 다양한 AI 모델을 활용해 사람의 얼굴 이미지의 위·변조 여부 판별이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범죄 예방 목적의 서비스다 보니 사람 얼굴 외 동물이나 사물의 딥페이크 이미지는 판별하지 않는다. 다만 완전히 개발이 완료된 서비스가 아닌 일종의 오픈 베타 테스트 버전 형태로 출시했기 때문에 지속적인 의견 수렴과 업데이트를 통해 탐지 대상 확대나 탐지율 향상은 물론 영상의 위·변조 여부 판별까지 추후 지원될 수도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샌즈랩 김기홍 대표는 “페이크체크 서비스는 딥페이크 침해 사고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한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임직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만들어낸 실질적인 대안 확보 사례”라며, “이번 서비스 출시로 수행 중인 과기정통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개발사업인 생성형 AI 역기능 억제를 위한 국민 체감형 플랫폼 구축 토대를 견고히 다지고 미래 사이버 보안을 위한 AI 기술 개발로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