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불황이 길어지면서 지방 중견·중소건설사들이 신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분양 물량에 따른 유동성 위기에다 내년도 SOC 예산이 줄면서 공공발주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방 건설사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폐업 신고한 종합건설사는 전국에 357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94곳) 대비 21.42%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를 포함한 폐업 신고는 1427건에서 1536건으로 7.6% 늘었다.
업계에서는 공사비 상승과 미분양 증가, 길어지고 있는 부동산 경기 악화 등으로 사업을 포기하는 건설사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고금리 장기화에 건설경기 침체를 버티지 못한 지방의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쌓이면서 유동성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어서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의 83%가 지방에 집중됐다.
국토교통부의 지난 9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7262가구로 8월과 비교해 4.9%(801가구)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0년 9월 1만6883가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중 1만4375가구(83%)는 지방에 몰려있다.
이런 상황에 내년 SOC 예산도 깎이면서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지방 중소건설업계의 자금상황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
공공 건설수주액과 직결되는 내년 SOC 예산은 올해 대비 3.4% 감소한 25조5000억원으로 편성됐다. 올해 SOC 예산은 정부의 12개 분야 중 유일하게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지방 중견·중소건설업계의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미분양 물량이 해소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추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정부의 규제 완화로 수도권 분양시장 일부가 살아났지만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쌓여있고 여전히 침체된 상황"이라며 "지방의 미분양 물량이 시장에 흡수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 정책적 지원과 지역 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차원의 공공공사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