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4조원으로 6% 감소…순이익은 67% 줄어
여객·화물 모두 부진, 추석 시기·입국 규제 영향
4분기 동계 노선 확대·전자상거래 화물로 수익성 방어
여객·화물 모두 부진, 추석 시기·입국 규제 영향
4분기 동계 노선 확대·전자상거래 화물로 수익성 방어

21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매출은 역대 분기 최대였던 지난해 동기(4조2408억원)보다 6% 낮아졌다. 영업이익은 작년 3분기 6186억원에서 39% 줄었다. 당기순이익도 918억원으로 작년 동기(2766억원)에 비해 67% 감소했다.
대한항공은 글로벌 항공 공급량 증대와 가격 경쟁 심화에 따라 매출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항공유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연료비는 줄었지만 고환율 기조 영향으로 감가상각비와 정비비, 공항·화객비 등이 늘어나 영업비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올해 3분기 원/달러 환율(매매기준율)은 평균 1388원으로 작년 3분기 평균(1358.57원)보다 높아졌다.
올해 3분기 여객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62억원 감소한 2조4211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는 여름 휴가·방학이 끼어 있어 전통적인 여객 성수기지만, 올해는 미국 입국심사 규정이 강화되는 등 변수가 있었고, 작년에는 3분기(9월)에 있었던 추석 연휴가 올해는 4분기인 10월 초로 밀리면서 여행 수요가 떨어지며 매출이 다소 감소했다고 대한항공은 설명했다.
화물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531억원 줄어든 1조667억원이었다. 대한항공은 미국 관세 리스크가 커지며 항공화물 시장 성장세가 둔화했지만 국가별 상호 관세 변경 및 수요 변동에 대응한 탄력적 노선 운영으로 안정적 수익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4분기 여객과 화물 분야에서 전략적 대응을 통해 수익성 회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여객 사업은 이달 초 장기 추석 연휴와 연말 성수기 효과로 국내·국제선 모두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항공은 동남아시아 등 동계 선호 관광지 중심으로 탄력적 공급을 통해 수익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화물 사업은 연말 소비 특수 시즌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동시에 무역 갈등 지속에 따른 수요 위축 전망도 나오고 있다. 대한항공은 시장 환경 변화를 반영해 공급 운영을 유연하게 하는 한편, 전자상거래 수요를 최대한으로 유치하고 고부가가치 품목 유치 확대를 통해 이익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