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통상 격랑속 K산업]또 바뀐 美 트럼프 반도체 관세 전략…K-반도체 어디로

트럼프, 미국내 생산 물량과 1대1 연동해 수입물량 무관세 정책 고려
전자제품 반도체 비율에 따른 관세부과 방안도 고려…혼란 불가피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내에서 만든 반도체 물량을 초과하는 반도체 수입 물량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시장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기존 반도체 분야에 대한 관세부과 시한을 한달 가까이 넘겼지만 여전히 정책이 오락가락 하는 모습에 국내기업들도 대응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 전자제품에 장착된 반도체 칩 개수에 따른 관세 부과 방안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스마트폰을 비롯해 노트북, 모니터 등 거의 전 제품이 해당돼 관세가 부과될 경우 시장의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달이 넘도록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만 놓고 있는 반도체 분야에 대해선 미국내 반도체 생산비율과 미국외 생산비율을 1:1로 연동하는 방안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미국내에서 생산한 반도체 제품 수 만큼 수입되는 반도체 제품 수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결국 무관세를 적용받으려면 기업들은 미국내 생산비중을 높일 수 밖에 없어 미국내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재 국내 반도체업체들은 이미 미국내 공장을 건설중이거나 걸설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370억달러를 투자해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를 건설중이다. 빠르면 올해 늦어도 내년 상반기 가동을 앞두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38억7000만달러를 투자해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시설 건설을 추진중이다.
다만 인력부족과 최근 발생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 등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추가투자를 통한 현지 생산시설 확대 등을 망설이게 하고 있다. 최근 텍사스주가 삼성전자에 2억5000만달러의 추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한국인 구금 사태로 높아진 미국정부에 대한 불신을 낮추려는 행보도 이어지고 있지만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추가투자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업계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지 1개월이 넘도록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고 있다”면서 “구체적인 내용이 문서화되지 않는 한 기업 입장에선 보수적인 대응전략을 유지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