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 시리즈는 아이폰15, 아이폰15 플러스, 아이폰15 프로, 아이폰15 프로맥스로 구성된다. 이 중 아이폰15와 아이폰15 플러스는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OLED 패널을, 아이폰15 프로와 아이폰15 프로맥스는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OLED 패널을 탑재한다. LTPO OLED 패널은 전력 소모가 적고 주사율을 120Hz까지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애플은 원래 아이폰15와 아이폰15 플러스에 대한 OLED 패널 공급을 중국 BOE에도 부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BOE는 애플의 엄격한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해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다. BOE의 OLED 패널은 화질, 밝기, 신뢰성 등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제품과 비교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BOE의 실패로 인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와 아이폰15 플러스에 대한 OLED 패널 공급량을 20% 정도 늘렸다고 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9월과 10월에 관련 소재와 부품을 추가로 발주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애플에게 1억2000만 장의 OLED 패널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BOE는 앞으로도 애플의 품질 승인을 받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BOE가 연내에 승인을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한다. BOE의 품질 문제는 애플의 공급망 다각화 전략에도 영향을 준다. 애플은 중국 기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다른 업체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지만, BOE의 경우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밀리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 시리즈의 상위 모델인 프로와 프로맥스에만 OLED 패널을 공급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현재 애플로부터 프로맥스용 OLED 패널에 대한 최종 승인을 받았으며, 프로모델에 대한 승인은 이달 중 예정되어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4분기 긍정적인 모멘텀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CES 2023에서 폴더블과 슬라이더블, 두 가지 혁신 기술이 하나로 집약된 '플렉스 하이브리드’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였다. 또한, 미래 노트북의 원형이 될 17.3형 대화면 슬라이더블 제품과 한층 진화된 정교한 AI 기술과 신규 유기 재료를 적용해 더욱 밝고 현실적인 화질을 보여줄 ‘QD-OLED 2023’ 등 중소형과 대형을 아우르는 혁신적인 OLED 제품들을 전시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1년에만 3,542건의 특허를 출원하였으며, 현재까지 총 2만 6,219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 출원은 삼성디스플레이의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을 반영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디스플레이 핵심기술인 패널 보상 및 보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OLED 디스플레이를 양산하는데 성공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수주 확대를 통해 애플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OLED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애플 외에도 샤오미, 오포, 비보 등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에게도 OLED 패널을 공급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앞으로도 OLED 기술의 혁신과 품질 개선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BOE의 실패를 기회로 삼아 OLED 시장에서 더욱 확고한 입지를 다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기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홍정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