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제주항공, ‘비도진세’로 포스트코로나 대비

중단거리 노선 회복 초점…사업모델 고도화
신기종 전환, 신규노선 개발 등 기회 창출
화물전용기 도입으로 항공 화물사업 확대

제주항공은 ‘비도진세(備跳進世)’를 키워드로 포스트 코로나 대비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비도진세란 ‘도약할 준비를 하고, 세상으로 힘차게 나아가자’라는 뜻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동일본 대지진, 메르스와 사스 등의 숱한 어려움을 이겨낸 제주항공의 회복탄력성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자는 의미이다.

제주항공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 슬로건_youcanfly. 이미지=제주항공이미지 확대보기
제주항공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 슬로건_youcanfly. 이미지=제주항공


제주항공은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화물전용기를 도입하고 내년부터 신기종인 B737-8을 도입하는 등 현재 사업모델에서 더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갖춰 중단거리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다양한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중단거리노선 회복에 초점을 맞춰 LCC 본연의 사업모델을 더욱 고도화한다. 고효율을 통한 저비용 사업구조를 더욱 공고히 해 항공기 운항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보다 저렴한 금액으로 항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코로나 이후 여행 수요를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장거리 운항을 위한 대형기 도입 여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은 가운데 제주항공은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보잉의 차세대 기종인 B737-8로 기종을 전환한다.

B737-8 도입은 현재 운영하는 기단 고도화 전략의 일환으로 현재 사업모델에 집중해 중단거리 노선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다.

B737-8은 현재 운용중인 B737-800에 비해 운항거리가 1000km 이상 증가해 중앙아시아, 인도네시아 등에도 운항이 가능해 신규노선 개발 등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또 기존 동급 항공기 대비 15% 이상 연료를 절감할 수 있고, 좌석당 운항비용도 12% 줄일 수 있어 비용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해당 기종은 기존 항공기 대비 약 13% 수준의 탄소 배출량 저감효과도 있어 탄소 저감을 통한 제주항공의 ESG 경영 기여는 물론 최근 국제사회에서 화두로 떠오른 탄소중립에도 한발짝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제주항공은 오는 6월에 B737 화물 전용기를 도입하며 본격적인 항공 화물운송사업에 나선다.

제주항공이 도입 예정인 화물 전용기는 B737-800BCF로 제주항공이 현재 운용하고 있는 항공기와 같은 기종이다. 여객기로 쓰이던 항공기를 화물 전용기로 개조한 것이다.

제주항공은 여객기와 같은 기종의 화물 전용기 도입을 통해 화물기 운항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고 기단 운영 효율성도 높일 수 있게 됐다. 또 편당 화물 수송량 확대는 물론 다양한 형태∙종류의 화물도 운송할 수 있게 돼 고부가가치 화물 운송에도 나설 수 있게 됐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양대 항공사와 LCC 자회사의 통합을 포함한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구조개편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긴 호흡으로 상황을 분석하고 유연하게 준비하겠다”며 “제주항공다운 미래사업전략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도 항공사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연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yd525@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