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카카오,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기록…매출 2조866억원

분기 영업이익 최초 2000억 원 돌파
플랫폼 매출액 전년比 12% 증가
"AI를 신규 매출원으로 진화시킬 것"
카카오가 7일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카카오 사옥 전경.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이재현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카카오가 7일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카카오 사옥 전경.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이재현 기자
​카카오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9% 증가한 2조 866억원 영업이익은 59%증가한 2080억원을 기록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모두 경신했다.
7일 카카오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사업 영역 중 플랫폼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1조 598억원으로 집계됐다. 플랫폼 부문 중 톡비즈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5344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톡비즈 광고의 매출액은 32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 늘면서 전 분기에 이어 다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덕분이다.

선물하기와 톡딜 등 톡비즈 커머스 매출액은 2087억 원으로,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는 추석 연휴가 10월에 속하면서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4분기로 이연됐음에도 불구하고 선물하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 성장했다. 선물하기 내 자기구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으며, 커머스의 통합 거래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4527억 원이다.

카카오페이는 증권과 보험을 포함한 금융 자회사의 매출 성장은 물론 데이터 기반 플랫폼 서비스가 견조한 성과를 내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률이 가속화되며서 분기 영업이익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콘텐츠 부문의 3분기 매출액은 1조267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 증가했다. 뮤직과 미디어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 75% 증가한 5652억원, 958억원을 기록했다. 뮤직의 경우 주요 아티스트들의 견조한 성과가 이어졌고 미디어는 이연 작품의 매출 인식과 제작 진행률 상승 효과가 반영됐다.

카카오는 인공지능(AI)와 대화만으로도 이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실행까지 완결할 수 있는 에이전틱 AI 생태계를 구현 중이다. 이를 위해 대화 맥락 속에서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과 카카오맵·선물하기·멜론 등과 연동되는 AI에이전트 '카카오 툴즈'를 적용한 '챗GPT 포 카카오' 서비스를 출시했다. 향후 AI 생태계 확대를 위해 카카오 툴즈에 금융, 모빌리티 등 그룹사 내 주요 B2C 서비스를 연동할 예정이다.

또 'Play MCP'와 'AI 에이전트 빌더'를 통해 누구나 카카오의 AI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 나갈 계획이다. 카카오톡의 경우 이용자 피드백을 수렴해 4분기 중 친구탭 개편을 완료하는 등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진행한다. 맞춤형 폴더 기능 강화와 AI 요약하기 서비스 확대 적용 등 편의기능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카카오톡 메시징의 경험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정신아 카카오대표는 "올해는 카카오의 그룹 거버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들면서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단단하게 다지는 작업을 완료했다"며 "내년부터는 AI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는 가장 중요한 신규 매출원으로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