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아 대표 "지난해 9월부터 오픈AI와 협업 논의"
사용자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기술' 지향
단발성 협업 아닌 '장기적 관점'서 파트너십 계획
카카오가 오픈AI와의 협업을 공식화했다. 오픈AI의 기술력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정신아 대표는 '장기적 관점'에서 오픈AI와의 협업 가능성을 밝혀 향후 다양한 부문에서의 시너지도 기대된다.사용자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기술' 지향
단발성 협업 아닌 '장기적 관점'서 파트너십 계획
4일 카카오는 더플라자에서 '카카오 미디어 데이'를 개최하고 앞으로의 AI 서비스 개발 방향에 대해 소개했다. 이날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것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무대에 올라 카카오와의 협업을 공식적으로 알렸다는 점이다.
그동안 카카오는 자체 AI 기술 확보에 있어 속도가 늦다는 지적이 이어져왔다. 네이버가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를 개발하고 관련 서비스를 잇따라 출시하는 가운데 카카오는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구체적인 로드맵과 서비스도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카카오의 AI 전략이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 것은 오픈AI와의 협업 논의가 시작된 지난해 하반기부터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지난 9월부터 카카오와 오픈AI의 협업 이야기가 오고 갔다.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지, 샘 올트먼 CEO의 관점에서 카카오와 어떤 협업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과 카나나를 통해 사용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 일상에 스며드는 AI 기술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개인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AI를 통한 연결과 관계의 확장,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카카오 AI 전략의 핵심이다.
샘 올트먼 CEO 역시 카카오가 가진 AI 비전에 공감, 이번 협업을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올트먼 CEO는 "카카오와 오픈AI는 AI에 대한 비전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 이에 카카오와의 협업을 결심하게 됐고, 카카오를 통해 탐구할 수 있는 영역은 매우 풍부하다. 우리가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정말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번 협업은 단발성이 아닌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신아 대표는 오픈AI의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서 시작해 협업 상품(프로덕트)을 어떻게 만들까 등 향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협업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단순히 오픈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출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재무적인 투자, 공동 기술 개발 등 추가적인 파트너십이 이뤄질 전망이다.
샘 올트먼 CEO는 "한국에 와서 기쁘다. 한국이 갖고 있는 고유의 자산(애셋·Asset)은 AI 시장에 상당히 가치 있는 것"이라며 "카카오와의 파트너십 기대도 높다. 카카오와 오픈AI는 서로 AI 비전과 미션을 공유하고 있어서 한국 사용자들을 위해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고 싶다"고 전했다.
카카오와 오픈AI의 협업은 현재 서비스 구상 단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 대표는 "오픈AI의 기술력을 어떻게 활용하고, 카카오 서비스에 어떻게 접목할지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하며 점차 확장해 나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편슬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yeonhaey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