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트럼프 석탄 정책에 석탄 소비 5500만t 급증...中도 감축 포기

올해 4억2200만t 전망, 40년 만에 최대 증가...석탄발전 60GWh로 태양광 제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석탄 산업 부활을 밀어붙이면서 미국 석탄 소비가 40년 만에 최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석탄 산업 부활을 밀어붙이면서 미국 석탄 소비가 40년 만에 최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미지=GPT4o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석탄 산업 부활을 밀어붙이면서 미국 석탄 소비가 40년 만에 최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의 석탄 옹호 정책은 중국의 석탄 감축 약속 후퇴를 불러와 글로벌 기후 대응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11(현지시각) 미국 석탄 수요가 올해 약 42200t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전년 대비 약 5500t이 늘어난 수치로, 40년 만에 가장 큰 연간 증가폭이다. 2007년 사상 최고치와 비교하면 60% 줄어든 수준이지만, 수년간 계속된 하락세를 멈췄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석탄발전 증가폭, 태양광·풍력 앞질러


올해 미국 석탄 발전량은 전년 동기 대비 60기가와트시(GWh) 넘게 늘었다. 태양광(54.7GWh), 풍력(7.7GWh) 증가폭을 제친 수치다. 반면 천연가스, 원자력, 수력 발전은 모두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행정명령으로 "석탄은 미국 국가안보와 경제안보에 필수적"이라고 선언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제조업 부활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을 이유로 석탄 발전소 가동 중단을 막고 연방 토지 석탄 채굴을 늘리는 내용을 담았다.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은 "앞으로 5~10년간 미국 전력 생산을 크게 키우려면 석탄 발전소 폐쇄를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최신 보고서를 보면 올해 세계 석탄 소비는 사상 최고치인 879000t을 기록할 전망이다. 중국이 전 세계 석탄 소비량의 58%를 차지하면서 석탄 수요를 좌우하고 있다.

, 석탄 감축 약속서 정점 달성으로 후퇴


중국은 20212026~2030년 기간 석탄 소비를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최근 공산당은 이 기간 석탄 사용이 '정점에 이른다'는 표현으로 입장을 바꿨다. 감소가 아닌 정점 달성으로 목표를 낮춘 것이다.

중국에너지연구청정공기센터(CREA)와 국제에너지전환학회(ISETS)가 전문가 44명을 조사한 결과, 52%는 중국 석탄 소비가 2025년 정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중국은 올해 4월 정책 지침으로 2027년까지 석탄 발전소 건설을 계속한다고 밝혔다. 중국석탄협회는 석탄 소비 정점이 2028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IEA는 곧 발표할 '세계 에너지 전망' 보고서에서 현행 정책 기준 세계 석탄 수요가 2030년까지 정점에 이르지 못한다고 밝힐 예정이다. 정점 이후 감소 속도도 이전 전망보다 느릴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 초안을 보면 "석탄은 앞으로 10년간 세계 전력 생산의 최대 원천으로 남을 것"이라고 적혀 있다.

"트럼프, 中 석탄 증산 부추기는 결과"


에너지 전문가들은 미국이 석탄 퇴출 압박을 멈추면서 중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석탄 소비가 늘 것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는 "트럼프가 미국 내 석탄 발전 감소를 막을수록 다른 나라들이 이를 정치적 명분으로 삼아 석탄 사용을 유지하거나 늘릴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미국과 유럽은 수십 년간 석탄 발전소를 닫으면서 일본, 한국, 대만 같은 선진국이 석탄 발전소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고, 중국과 인도 같은 신흥국의 신규 건설을 억제하는 효과를 냈다. 하지만 미국과 독일에서 이런 압박이 사라지면서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가 애팔래치아와 파우더리버 유역 광부들을 돕는다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는 중국 내몽고, 산시성, 산둥성, 신장 지역의 석탄 채굴 증가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영국은 지난해 9월 마지막 석탄 발전소를 닫으면서 주요 선진국 가운데 처음으로 석탄 발전을 완전히 멈췄다. 유럽연합(EU)도 지난해 석탄 발전량이 15% 줄었다. 하지만 세계 석탄 소비는 파리기후협정 체결 10, 교토의정서 채택 30년이 지난 지금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