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엔비디아 젠슨 황 “AI 경쟁, 미국 아닌 중국이 이길 것”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로이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이 미국과의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6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황 CEO는 FT와 최근 진행한 인터뷰에서 미국과 영국 등 서방 국가에서 규제가 늘고 비관론이 커지면서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각 주가 도입 중인 새로운 AI 규정을 언급하먼서 “50개의 규제가 새로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에 중국 정부는 데이터센터 전력 비용을 낮추고 규제를 느슨하게 하면서 AI 연산 인프라를 운영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황은 강조했다.

FT에 따르면 최근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가 운영하는 대형 데이터센터에 지방정부가 전력 보조를 확대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엔비디아 반도체 대신 화웨이, 캐임브리콘 등 자국산 칩을 사용할 때 전력 효율이 떨어져 비용이 더 든다고 불만을 제기했고 이에 지방정부가 인센티브를 늘렸다는 것.

황 CEO는 그동안 미국 정부에 “엔비디아 칩의 중국 판매를 금지하면 오히려 중국산 대체 기술을 키우는 결과가 된다”고 경고해왔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 이후에도 “엔비디아의 최첨단 블랙웰 칩은 미국 외 국가에 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용으로 성능을 조정한 칩 판매를 재개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협상을 시도했지만 관련 규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엔비디아와 AMD는 기존 중국 판매용 AI 프로세서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조건에 합의한 상황이다.

올해 1월 중국의 딥시크가 선보인 대형 언어모델은 실리콘밸리를 놀라게 했고 이후 미국이 기술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놓고 논쟁이 커졌다고 FT는 전했다.

엔비디아의 기업가치는 최근 약 5조 달러(약 7205조 원)까지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블랙웰 문제를 시 주석과 논의하겠다고 밝힌 뒤 시가총액이 더 올랐다.

FT는 “황 CEO의 이번 발언은 그가 지금까지 중립적인 톤을 유지해온 것과 달리 처음으로 ‘중국이 이길 것’이라고 단정한 가장 강한 발언”이라고 평가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