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트럼프 100% ‘추가관세 폭탄’ 경고에 中 수출·제조업 ‘진퇴양난’

美 내달 1일 전격 시행 예고…무역 휴전 후 고관세 리스크 재부각
미중 무역갈등 재현으로 이미 회복 기미가 불투명해진 중국 경제에 또다시 자금난과 주문 급감 등 불확실성이 짙어졌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미중 무역갈등 재현으로 이미 회복 기미가 불투명해진 중국 경제에 또다시 자금난과 주문 급감 등 불확실성이 짙어졌다. 이미지=GPT4o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지난 10(현지시각) “11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현행 관세 외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이미 회복 기미가 불투명해진 중국 경제에 또다시 자금난과 주문 급감 등 불확실성이 짙어졌다고 지난 12일 월스트리트저널이 전했다.

대미 수출 17%↓…EU·아세안으로 우회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올해 19월 대미(對美)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7% 감소했다. 반면 전체 수출액은 6% 증가해 미국 외 시장 개척으로 손실을 일부 만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연합(EU)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대상 수출이 크게 늘었다. EU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으며, 아세안 시장으로의 수출은 12%가량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고율 관세를 피해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중국산 제품 가격 경쟁력 하락을 방어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그러나 8월 수출성장률이 4.4%로 떨어졌다가 9월에 8.3%로 반등하는 등 성장세가 들쭉날쭉해 안정적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3국 수출 확대가 급한 불은 끌 수 있지만, 글로벌 수요 둔화와 물류 차질이 겹치면서 추가 관세 충격에 취약한 상태라고 말했다.

생산 중단 기로…완구·폭죽업계 초긴장


광둥(廣東)성 장저우시 완구업체 GSNMC 대표 알란 초우(Alan Chau)지난 4월 관세율이 145%로 급등하자 미국 바이어가 전량 주문을 멈춰 현금 흐름이 마비 직전까지 갔다“5월 무역 휴전으로 간신히 정상화됐지만, 이번 추가 관세가 현실화되면 생산을 재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크리스마스 장식 완구 일부 물량은 관세 부과 전 미국에 도착 예정이지만, 이후 선적분 계약은 사실상 무산 위기에 놓였다.

허난(河南)성 미라클파이어워크스(Miracle Fireworks) 창업자 애덤 다이(Adam Dai)우리 회사는 미국 시장에만 99% 의존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미 주요 고객들이 배송 연기를 요청했으며, 높은 관세가 장기화되면 부자재 조달도 중단돼 생산 차질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 대표는 수출 다변화나 비용 절감만으로는 버티기 어려워, 정책 발표 후 몇 주 안에 생산 여부 결정을 내려야 할 상황이라고 전했다.

대미 수출길이 다시 좁아지면 중국 제조업체 상당수가 단기적 자금난에 봉착해 가동 중단을 검토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생산 기지 이전·신시장 개척 분주


미국 수입업체가 관세를 부담하지만, 추가 관세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미국 바이어의 구매 감소로 직결된다. 이에 따라 중국 제조업체들은 대안 마련에 나섰다. 일부는 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거나 신규 공장 설립을 검토해 관세 부담을 줄이고 있다.

광저우 모자업체 에이스헤드웨어대표 제피 마(Jeffy Ma)“100% 관세 위협 이전에도 주요 고객 일부가 다른 국가 제조 제품을 요청했지만, 유럽·한국 고객 판매 확대를 통해 전체 매출을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동남아 외에도 중동·남미 시장 개척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완구업체 관계자는 실제 생산 이전까지는 6~9개월이 걸려 단기 충격 완화에는 한계가 있다물류 비용 증가와 현지 인허가 절차 등을 감안하면 기존 중국 공장 운영 비용 조정과 재고 관리 최적화가 시급하다고 전했다.

중국 제조업체들은 관세 충격을 줄이기 위해 생산 거점 다변화와 함께, 공급망 효율화, 원자재 국내 조달 비중 확대 등 복합적 전략을 추진 중이다.

관세 위협 재연될 것…성장률 목표 차질 불가피


코넬대 무역정책전문가 에스와르 프라사드(Eswar Prasad) 교수는 관세 장벽에도 중국의 전반적 수출이 선전한 점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으로 하여금 무역전쟁 재개를 감수하게 한 배경이라며 관세가 지속되면 중국의 국내 소비 부진과 주요국의 반덤핑 조치가 역풍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치위험 전문업체 유라시아그룹 중국팀 디렉터 댄 왕(Dan Wang)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은 과거처럼 미국 기업과 시장 변동성 우려로 철회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중국 정부는 수출 지원과 함께 내수 진작을 위해 생산 조정, 가격 안정 방안을 검토 중이나 대규모 경기 부양책 실행 시점은 미정이다. 올해 목표인 약 5% 성장률 달성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