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中, 희토류 자석 미보장시 200% 관세 직면" 경고

"중국 파괴할 카드 갖고 있어… 하지만 사용 원치 않아" 강경 발언
유학생은 '허용'… "60만 명의 중국 학생, 미국에 계속 올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2025년 8월 25일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JD 밴스 미국 부통령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2025년 8월 25일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백악관 집무실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미국의 희토류 자석 공급을 보장하지 않을 경우 200%의 관세를 부과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이와 동시에, 그는 중국 학생들이 미국에 계속 입국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라고 밝히며, 무역과 교육 분야에서 중국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를 드러냈다고 26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만남 후 기자들에게 "그들은 우리에게 자석을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100%, 200% 관세를 부과할 수 있으며, 그렇게 된다면 중국과 어떤 거래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우리는 놀라운 카드를 가지고 있지만 나는 그 카드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 내가 그 카드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중국을 파괴할 것"이라고 덧붙였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이러한 강경 발언은 이달 초 중국과의 무역 휴전을 90일 더 연장하기로 합의한 이후의 우호적인 태도와는 대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인도, 브라질과 같은 다른 주요 개발도상국과 동맹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동시에 중국에 대한 수사를 줄여왔다.

그러나 이번 발언은 중국이 관세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도록 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학생들이 미국에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학생들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지만, 우리는 그들의 학생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라며, "우리는 매우 중요한 60만 명의 학생을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학생들은 미국에서 가장 큰 외국인 학생 인구로, 많은 대학 및 기타 기관의 수익에 기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중국 방문 계획을 다시 확인했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꽤 최근에" 통화했으며, "어느 시점에, 아마도 올해 안이나 그 직후에 중국에 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와 시진핑은 6월 초 전화 통화를 가졌으며, 무역협상, 미국 주재 중국 유학생, 서로의 자국 방문 초청 등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중국과 잘 지낼 것이지만, 현재 중국과는 다른 관계이며, 조 바이든 전 대통령과의 관계보다 경제적으로 훨씬 더 나은 관계"라고 말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