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세율 "대폭 인하 시사"... 뉴욕증시 비트코인 "환호 폭발"

백악관 무역협상 "유연성""
트럼프/사진=백악관 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사진=백악관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세율 "대폭 인하 시사"... 뉴욕증시 비트코인 "환호 폭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세율을 대폭 인하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뉴욕증시 비트코인 등 금융시장이 "환호 폭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무역 대상국에 보낸 '관세 서한'이 곧 무역협정을 마무리한 것이라면서도 향후 협상을 계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15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취재진의 EU와의 무역 협상 관련 질의에 "서한이 협정이다. 협정은 이미 이뤄졌다. 더 이상 협상할 게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그들(EU)은 다른 종류의 협정을 하고 싶어 한다"며 "우리는 항상 대화에 열려 있다. EU를 포함해 우리는 대화에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실 그들(EU)은 (협상하러 미국에) 올 것이다. 그들은 대화하고 싶어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한국과 일본에 25%의 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시작으로 지난 12일 EU와 멕시코에 나란히 30%의 관세율이 적힌 서한까지 지금까지 총 25개 무역 파트너에 관세 서한을 발송하고 이를 공개했다. 그는 애초 7월 9일부터였던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다시 미뤘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언급은 최종 합의까지 협상 시한이 있는 만큼 관세를 조금이라도 낮추려는 무역 상대국들과의 막판 협상을 이어갈 수 있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주요 무역 파트너에 이미 상호관세율을 설정한 만큼 자신이 만족할 만한 협상안을 들고 오지 않으면 해당 서한에 적힌 관세율을 그대로 적용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한 것으로도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의 침략전쟁을 막아내고 있는 우크라이나에 방공 무기뿐 아니라 대규모 공격 무기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한 자리에서 취재진에 "나토와 오늘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오늘 체결된 협정에 따라 나토가 비용을 부담할 것"이라며 "우리는 최상급 무기를 생산할 것이고, 이를 나토에 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이 계획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미국이 첫 번째 판매에서 나토 동맹국들에 약 100억 달러(한화 13조8천360억원)어치의 무기를 판매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에 소극적이었던 기존 방침에서 상당 정도 달라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직접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지 않고, 나토가 미국산 무기를 구매해 우크라이나에 제공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무기 판매를 통해 수익을 올리고, 자신의 기존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방법을 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이는 (조) 바이든(전 대통령)과 민주당의 전쟁이지, 공화당이나 트럼프의 전쟁이 아니다"라며 전쟁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생각이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2기 취임 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평화 합의를 끌어내려고 노력했으나 최근 들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번번이 좌절되고 있는 데 대한 불만을 드러내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시사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50일 이내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는)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러시아에) 매우 혹독한 (관세를 부과하고, 러시아와 거래하는 국가에는)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관세율이 100% 정도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러시아가 평화 합의를 서두르지 않으면 러시아는 물론 러시아의 무역 상대국에도 고율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글로벌 무역 체계에서 러시아를 고립시키겠다는 위협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혹독한 관세' 발언과 관련, 백악관 당국자는 러시아에 100%의 관세를 부과하고, 러시아의 원유를 구매하는 국가에도 그에 상응하는 2차 관세를 부과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