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소재 95%·수소 연료전지 탑재한 '세닉 비전' 공개
EU 관세 장벽과 기술 차별화로 아시아 공세 동시 견제
EU 관세 장벽과 기술 차별화로 아시아 공세 동시 견제

◇ 유럽의 반격, 아시아의 공세에 맞서다
그동안 유럽 자동차 산업은 이탈리아의 슈퍼카, 독일의 정밀함과 고급스러움, 프랑스의 터보 해치백 등 나라별 개성을 앞세워 세계 시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기능성과 효율성을 무기로 한 아시아 브랜드들의 공세는 거셌다. 실제로 지난 4월, BYD는 유럽에서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차 신규 등록 1위를 차지하며 파란을 일으켰다. BYD는 저렴한 가격, 긴 주행거리, 빠른 충전을 내세우고 헝가리와 튀르키예 공장 계획 등 현지 생산 확대를 무기로 유럽을 공략하고 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35%의 관세를 물리기로 한편, 르노·폭스바겐·스코다 같은 유럽 브랜드들은 친환경 소재와 안전성, 차별점을 앞세워 시장 지키기에 나섰다. 이런 전략의 선봉에 르노가 가장 유명한 모델 '세닉'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콘셉트카를 선보였다.
◇ 지속가능성과 기술로 무장한 '세닉 비전'
핵심인 동력계는 희토류를 쓰지 않는 새 160kW급 전기 모터와 프랑스에서 생산한 40kWh 용량의 배터리로 구성했다. 여기에 수소 연료 전지를 더해 주행 거리를 크게 늘려 전기차의 효율과 수소차의 장점을 모두 잡았다.
◇ 안전은 기본…미래지향적 첨단 기술
르노는 안전 기술에도 공을 들였다. '세이프티 코치' 시스템은 여러 센서와 카메라로 위험한 상황이나 운전자 피로를 감지해 사고 가능성을 줄인다. 위험을 감지할 때 가속 페달에 진동을 보내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기능도 넣었다.
실내 디자인은 미래를 지향한다. 기존 대시보드를 대체하는 투명 스크린을 앞유리까지 넓혔고, 맞춤형 터치스크린으로 공조 장치부터 음악, 심박수까지 모든 것을 조절할 수 있게 했다. 특히 세계적인 음향 예술가 장미셸 자르와 손잡고 도로 위에서 최상의 소리를 경험하도록 설계했다.
중앙에는 774cm² 크기의 '오픈R' 스크린 두 개가 자리한다. 구글을 내장한 '오픈R 링크' 시스템으로 100가지가 넘는 앱을 쓸 수 있으며, 30가지가 넘는 첨단 안전 시스템이 탑승자를 보호한다. 트렁크 공간은 545리터로, 가족용 차량이 지녀야 할 실용성도 놓치지 않았다.
르노는 '세닉 비전'으로 편안함, 기술, 지속가능성을 한데 담아 미래 가족용 자동차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배터리 효율, 재활용 소재,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에서 기술 혁신 경쟁이 시장 점유율을 좌우할 전망인 가운데, 유럽과 아시아 브랜드의 세계 자동차 시장 주도권 경쟁은 앞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