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트럼프 재집권 후 공화당 내 ‘자유무역파’ 고립…“레이건식 시장주의는 끝나”

미국 오하이오주 초선 상원의원 버니 모레노.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오하이오주 초선 상원의원 버니 모레노.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과 함께 공화당이 전통적인 자유무역 기조에서 급속히 이탈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공화당 의원들은 극소수에 그쳤고 자유 시장주의 원칙보다는 ‘노동자 중심의 보호무역’이 새로운 당의 경제노선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평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단행한 전 세계적 관세 부과 조치를 공화당 내에서 뒤집으려는 시도가 좌절된 사례를 들어 공화당의 경제철학이 급변하고 있다고 3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자유무역을 옹호하는 공화당 상원의원 랜드 폴이 관세 철회를 골자로 한 결의안을 상정했지만 찬성한 공화당 의원은 단 2명에 그쳤고 49명이 반대했다.
오하이오주 초선 상원의원 버니 모레노는 “공화당이 30~40년 전 민주당이 취했던 입장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트럼프의 지도력 아래 공화당은 이제 노동자 중심 정당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정한 무역’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레이건 시절부터 이어진 공화당의 ‘작은 정부’와 ‘자유시장’ 원칙과 상충되지만, 트럼프 지지층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면서 당내 다수파로 자리 잡았다. WSJ는 “한때 자유시장 옹호론자들이 주도하던 공화당이 ‘트럼프주의’로 재편되면서 보호무역주의가 새로운 당론으로 부상했다”고 지적했다.

정책 싱크탱크인 아메리칸 컴퍼스는 이같은 변화의 중심에 있다.

이 기관은 미트 롬니 전 대선후보의 정책책임자 출신 오렌 캐스가 이끌고 있으며, 공화당 내 보호무역주의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캐스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가정이 번영할 수 있도록 국가가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제 ‘좀비 레이거니즘’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의 경제자문위원장으로 임명된 스티브 미란, 부통령 제이디 밴스, 국무장관 마코 루비오 등도 아메리칸 컴퍼스와 연계돼 있다고 WSJ는 전했다.

공화당 내 일부 인사들은 여전히 관세 정책에 회의적이다. 상원 원내대표 존 튠은 “관세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혔고, 전임 원내대표 미치 맥코넬 역시 같은 입장이지만 건강 문제로 관련 표결에 불참했다. 다만 이들조차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을 고려해 대체로 관세 정책에 침묵하거나 우회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아이들이 인형을 30개 대신 2개만 가져도 괜찮다”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이 미국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같은 발언은 민주사회주의자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지난 2015년 CNBC와 인터뷰에서 “18가지 운동화와 23가지 데오드란트 중 고를 필요는 없다”고 말한 것과 유사하다는 평가도 나왔다.

관세에 부정적인 여론은 여전히 높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분야 지지율은 하락세이고, 소비자 신뢰지수도 급락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 부과한 신규 관세를 지난달 ‘해방의 날’ 선포 이후 일시 중단했다.
그럼에도 공화당 다수는 트럼프의 노선을 ‘필요한 변화’로 받아들이고 있다. 펜실베이니아주의 공화당 하원의원 마이크 켈리는 “우리는 시장 점유율을 되찾고 미국에서 물건을 만들며, 우리가 잃었던 일자리를 되찾을 것”이라며 “지금은 고통스러워도 결국엔 올바른 길이었다고 돌아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