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민간 기업이 발사한 세계 최초의 민간 달 착륙선이 기술적인 문제로 실패 위기에 직면했다.
8일(현지 시간) 민간 우주기업 애스트로보틱은 이날 새벽 발사한 자사의 무인 달 탐사선 ‘페레그린’에 기술적 문제가 발생해 달 착륙 계획의 실행이 불투명해졌다고 밝혔다.
애스트로보틱은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를 통해 “추진체 계통의 문제로 연료에 심각한 손실이 발생했다”며 “현 상태에서 가능한 임무가 무엇인지 대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페레그린은 이날 오전 2시18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의 ‘벌컨 센타우어’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그러나 애스트로보틱의 기술팀은 발사 후 약 7시간 만에 페레그린의 태양광 패널이 태양을 향해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현상을 발견했다.
기술팀은 원격 조작으로 태양광 패널을 제대로 작동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연료 손실이라는 또 다른 문제를 발견했다. 기술팀은 이러한 문제들이 발사 과정에서 생긴 문제로 보고 있다.
당초 페레그린은 오는 2월 23일 달 앞면 폭풍의 바다 동북쪽의 용암지대 시누스 비스코시타티스에 착륙할 예정이었다. 탐사선의 착륙이 성공하면 세계 최초의 민간 달 탐사선이 될 수 있었다.
높이 1.9m의 페레그린 탐사선에는 달의 표면 구성과 방사능을 조사할 미항공우주국(NASA·나사)의 과학기구와 미국 카네기 멜런 대학이 개발한 신발 상자 크기의 소형 탐사 로봇 등 다양한 화물이 탑재됐다.
나사는 애스트로보틱이 페레그린 착륙선을 통해 자신들의 장비를 달에 보내는 비용으로 1억800만 달러(약 1400억원)를 냈다.
미국이 달 표면 탐사를 재개한 것은 1972년 12월 마지막 유인 달 탐사선이었던 아폴로 17호 이후 51년여 만이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