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일본 우주 스타트업 아이스페이스, 달착륙선 통신두절 상태

성공시 민간으로 최초 달 착륙 기록
아이스페이스의 달착륙선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아이스페이스의 달착륙선 모습. 사진=로이터
일본 우주 스타트업 아이스페이스( ispace)는 26일(현지시간) 달표면 착륙선이 착륙을 시도했지만 도쿄(東京) 관제실과 통신이 두절된 상태라고 밝혔다.
닛케이(日本經濟新聞) 등 외신들에 따르면 아이스페이스의 하카마다 다케시(袴田武史)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달착륙선의 달착륙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카다마 CEO는 상황을 조사하고 있으며 착륙을 완료할 수 없었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달착륙이 성공한다면 민간으로서는 세계 최초의 쾌가가 된다.

달착륙선은 지난해 12월에 미국 스페이스X의 로켓으로 발사돼 우주공간을 4개월반 운행해 달에 착륙할 계획이었다. 이날 오전0시40분경 달표면으로부터 고도 약 100Km의 위치에서 착륙상태에 들어갔다. 순조럽게 진행된다면 1시간후 오전 1시40분경에 착륙해야 한다.
아이스페이스는 달 착륙직전까지는 착륙 우주선과의 통신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착륙 성패를 확인하는데에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지는 미정이라고 설명했다. 빠르면 이날 오전에라도 파악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달착륙선에는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한 소형 로봇 등 7가지 화물을 탑재하고 있다. 착륙이 성공하고 있다면 로봇은 달표면에 내려져 동작 확인후에 달표면의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다. 아이스페이스는 착륙선의 다리에 설치된 카메라로 달 모래를 촬영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소유권을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달표면착륙에 대해서는 미국과 구소련, 중국 등 3개국의 정부기관이 성공한 사례가 있지만 민간에서 성공한 사례는아직 없다. 지나 ㄴ2019년에는 이스라엘의 민간단체가 시도했지만 착륙직전에 통신이 두절돼 연착륙에 실패했다.

아이스페이스는 2024년에 두차례, 2025년에 3차례의 달착륙선의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이번 도전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을 다음의 착륙선 운용에 살릴 계획이며 앞으로 달표면의 정기운송서비스에 의한 수익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