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이후 공공·유관기관 인선 본격화
전 정권 1급 인사 교체…관료·내부 승진 갈림길
전 정권 1급 인사 교체…관료·내부 승진 갈림길

23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주요 금융권 차기 수장을 선임하는 절차가 잇따르고 있다.
예보는 지난달 이사회를 열고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를 구성해 차기 사장 선출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유재훈 현 사장의 임기는 다음 달 10일 만료된다. 예보 사장은 임추위 추천과 금융위원장 제청, 대통령 임명을 거치며 임기 3년이다. 역대 예보 사장 중 연임 사례가 단 한 번뿐이어서 이번에도 새 인물이 발탁될 가능성이 크다.
신보도 임추위 구성을 마치고 후보 검증 절차를 준비 중이다. 다만 예보와 달리 공고나 면접 등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금융위 1급 인사가 마무리돼야 공공기관 인선이 본격화되는 만큼 국정감사 직후 인사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협회 인사도 잇따른다. 여신금융협회장은 이달 초 임기가 끝났고, 금융투자협회장은 오는 12월 만료를 앞두고 있다. 두 협회 모두 카드사·증권사 등 업권별 이해관계가 첨예해 내부 추천 경쟁과 외부 출신 인사 영입 가능성이 동시에 거론된다.
내년 초에는 IBK기업은행과 한국예탁결제원·한국신용정보원 등 국책·인프라 기관 수장이 교체된다. 특히 기업은행장은 내년 초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어 산업은행에 이어 내부 출신 승진 기조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IBK기업은행은 김성태 행장의 임기 종료가 임박한 상태다. 내년 1월 임기 만료다. 중소기업 대출 확대와 역대 최대 반기순이익 등 성과도 뚜렷하지만, 부당대출 논란 등 리스크도 남아있어 금융권의 관심이 높다. 차기 후보군으로는 내부 인사인 김형일 전무이사, 서정학 IBK투자증권 대표 등도 거론되고 있다.
공공·정책은행 특성상 은행장 선임은 금융위원장 제청과 대통령 임명을 거치는 구조이므로, 금융당국의 인사 기조가 반영될 수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한국예탁결제원과 한국신용정보원도 마찬가지로 수장 교체 시점에 와 있다.
예탁결제원의 경우 최근 노조 내부에서 ‘관료 낙하산’ 논란이 재점화된 바 있으며, 기관 내부에서는 공개 모집과 내부 승진 중 어떤 방식이 적용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신용정보원 역시 과거부터 후임 원장 선임이 지연된 적이 있고, 이번에도 인선 방식과 후보군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쇄 인사는 정부가 전 정권에서 임명된 1급 인사들의 사표를 일괄 수리하는 기조와 맞물려 있다. 금융당국의 조직개편안이 철회되면서 인사 절차가 정상화된 점도 속도를 높이는 요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재부와 금융위의 고위직 인사가 확정돼야 공기업 인선 방향이 잡힐 것”이라면서 “연말까지는 예보, 신보, 여신협, 금투협이 잇따라 새 얼굴로 교체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