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한은 "기준금리 0.25%P 내리면, 집값 0.4% 올라"

새 경제전망 모형 활용해 추정
한국은행이 3일 새 경제 전망 모형을 활용해 추정한 결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하면 집값이 0.4% 정도 내릴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반대로 금리를 0.25%p 내릴 경우, 집값이 최대 0.4%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행이 3일 새 경제 전망 모형을 활용해 추정한 결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하면 집값이 0.4% 정도 내릴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반대로 금리를 0.25%p 내릴 경우, 집값이 최대 0.4%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새 경제 전망 모형을 활용해 추정한 결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하면 집값이 0.4% 정도 내릴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반대로 금리를 0.25%P 내릴 경우, 집값이 최대 0.4%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행은 3일 발표한 '한국형 대규모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개발 결과' 보고서에서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한은은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과의 연계성을 키우라"는 이창용 총재의 지시에 따라 2023년 하반기부터 개발에 착수해 최근 국내외 금융·경제 여건을 보다 빠르고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는 거시경제 분석·전망 모형(BOK-LOOK)을 완성했다.

새 모형은 우리나라의 '소규모 개방경제' 특성을 반영해 대외 교역권을 미국·중국·유로·신흥 아시아·일본 등으로 세분화하고, 각 교역권의 경제 충격이 한국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금융위기 이후 대내외 장기금리 동조화 경향이 강해진 점도 반영해 미국 장기 금리 변화가 국내 시장금리, 거시경제, 통화정책에 미치는 파급 효과 분석도 강화했다.
아울러 주택가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등 금융 부문의 데이터도 중요한 변수로 반영했다.

새 모형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면 소비·투자가 위축되면서 GDP갭(실질GDP-잠재GDP)이 최대 0.07%P 줄어들 것이라고 추정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시차를 두고 최대 0.05%P 낮아지고, 주택 가격은 최대 0.4%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가계부채도 5조1000억 원가량 줄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최대 0.3%P 하락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한은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반대로 0.25%P 내리면 비슷한 정도로 반대 방향의 효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