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ESG 워치] 조선 한성은 최소한·최대한의 지혜 도시

이영한 지속가능과학회 회장이미지 확대보기
이영한 지속가능과학회 회장
휴일에 서울 인왕산 도성 성곽길을 따라 이어진 등산 코스에는 외국인들, 청년들이 줄을 잇는다. 유치원생 딸의 손을 잡고 하산하는 아버지, 지방에서 삼삼오오 올라온 베이비부머들도 서울 풍광을 맛보며 행복한 시간을 나누고 있다. 사직단으로부터 인왕산 정상을 오르면서, 서쪽으로는 인왕산 국사당과 선바위를 보고 동쪽으로는 백악과 응봉으로부터 내려오는 푸른 구릉과 그 사이에 자리 잡은 경복궁, 창덕궁, 동대문 등의 조감(鳥瞰)은 시공을 초월한 갤러리와 같다.

하산하여 들르게 되는 청와대, 삼청동, 송현동, 인사동 길에는 옛 시골 5일 장터와 같이 남녀노소가 모여 활기차다. 종로3가 피맛길 식당들도 은퇴한 실버들의 미팅 플레이스로 여전히 성업 중이다. 장애인 등 신체적 약자들은 무장애(barrier free) 남산 둘레 북측 순환로에서 산책하고 있다.
조선시대 도성인 한성은 태종대에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주요 전각 등 주요 시설들이 폐허가 되었으나, 숙종·영조대에 이르러 도성으로서의 면모를 다시 갖추게 된다. 그 이후인 1820년경에 그린 지도로 ‘수선전도(首善全圖)’가 있다. ‘수선전도’는 ‘세상에서 제일 선하고 아름답고 모든 것을 담은 지도’라는 뜻이다. 즉 한양 도성은 모든 것을 갖춘 제일 좋은 도시라는 뜻이다.

이 지도에는 역 오메가(Ω) 형태로 중랑천과 한강이 에워싸고, 그 북쪽으로부터 내려오는 도봉산, 북한산 삼봉, 보현봉 그리고 백악을 그렸다. 백악에서 다시 동쪽으로는 응봉과 낙타산으로, 서쪽으로는 인왕산과 남산으로 이어져, 도읍을 감싸고 있는 형국이다. 1970년대 이후 강남권역이 현대 도시로 눈부시게 개발되었다. 그렇지만 사대문 안의 옛 도성 골격과 건축은 여전히 그 품격을 잃지 않고 살아있어, 대체할 수 없는 서울의 핵이라고 할 수 있다.

한성은 어떤 성격의 도시였을까? 격자형 도시인 일본 교토나 중국 베이징과는 다르게 자연 지형을 최대한 살려 계획되었다. 조선 땅은 고래로 "청구지국(靑丘之國)"이라고 칭해졌다. ‘푸른 구릉의 나라’라는 뜻이다. 우리 선조들은 드넓은 벌판보다는 높은 산으로부터 내려 뻗은 낮은 구릉에 터를 잡고 살았다. 지금 주변 산에서 서울 구도심을 보아도, 북으로부터 남으로 뻗어 내린 푸른 구릉 띠들을 여실히 볼 수가 있다. 그 능선 상에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 경희궁, 사직단, 동대문 등 주요 건축들이 터를 잡고 있다.

흥미진진하고 레슨 뭉치 덩어리인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선 건국 초기 한성 천도 과정이 비교적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당시 수도를 고려조 수도로서 완성된 도시인 개성(송경)으로 하느냐? 한성(한경)을 신수도로 건설하느냐? 갈팡질팡했다. 태조 이성계 등 일부가 신수도를 지지했고, 대신들이나 백성들은 대부분이 송경에 마음이 가 있었다. 결국 태종이 몇몇 대신들과 같이 종묘에 가서 그 답을 얻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왕을 중심으로 한 일부 핵심 권부의 의지에 따라서 한경으로 결정된 것이다. 자연히, 신수도 건설 사업에서 백성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려 했다.
백성들의 농사철을 세심히 고려해 한성 건설 노역에 동원했고, 가능한 한 농민보다는 군인이나 승녀를 동원하려 했다. 또한 부엉이가 궁궐에서 운다든지 별의 움직임이 이상하다든지 하면, 공사를 축소하거나 중지했다. 그만큼 태조나 태종은 마음고생하면서 신수도를 건설했다. 그래서 "사치하지도, 누추하지도 않은 도시"를 만들었다. 한성은 최대한의, 최소한의 도시였다. 최소한의 노력 한도 내에서 도성이 갖추어야 할 요소와 원칙을 최대한 갖춘 도성이었다. 그래서 지혜의 도시(city of wisdom)였다.

우리 전통 건축에 ‘덤벙주초’가 있다. 가공을 최소화한 자연석을 땅에 묻고 나무 기둥을 지지하도록 했다. 최고·최대의 화려한 사찰에서도 덤벙주초를 사용했으니, 전통 건축의 대표적 공법이었다. 도시 건설뿐만 아니라 건축도 가공을 최소화했다. 왕이나 백성들이나 우리 선조들은 검약(儉約)을 실천하고자 했다. 우리 몸속에 잠복된 유전자인 ‘검약’이 21세기 친환경, 탄소 중립 시대의 덕목으로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이영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건축학), 지속가능과학회 회장
사진없는 기자

이영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건축학), 지속가능과학회 회장

혼다 신형 CR-V와 파일럿, 캠핑에 어울리는 차는?
운전 베터랑 아나운서들의 리뷰 대결 골프 GTI vs. TDI 승자는?
아우디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RS e-트론 GT
아우디 e-tron GT vs. 아이오닉 5 N 비교할 수 있을까?
이번엔 더 무서운 차 끌고 나왔다! 벤츠 E 300 4MATIC AMG Line
국내 1, 2위 다투는 수입차, 벤츠 E와 BMW 5 전격 비교
숨은 진주 같은 차, 링컨 노틸러스 ... "여긴 자동차 극장인가?"
가장 현실적인 드림카, 벤츠 디 올-뉴 CLE 450 4MATIC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