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신유열 부사장 전면 배치 ‘젊은 롯데’ 시동

“실제 성과 냈던 인물 중심 등용”
신유열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내정자. 사진=롯데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신유열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내정자. 사진=롯데그룹
60대가 대거 물러나며 롯데그룹이 젊어진다.
26일 롯데그룹은 이날 오전 주요 계열사들의 이사회를 개최하고 ‘2026년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세대교체’로 볼 수 있다. 그간 롯데그룹을 이끈 이동우(65) 롯데지주 부회장, 김상현(62) 롯데유통군 부회장(롯데쇼핑 대표이사), 이영구(63) 롯데식품군 부회장 등이 유임에 실패했다.

이동우 대표이사 부회장은 2021년 11월 부회장으로 승진하고 2024년 재신임에 성공하며 신동빈 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그러나 이번엔 달랐다.
외부에서 영입된 김상현 롯데유통군HQ 부회장은 P&G 동남아시아 총괄 사장과 홈플러스 부회장을 역임한 글로벌 유통 전문가로서 2022년 롯데그룹에 합류했다.

임기가 2027년까지였던 이영구 식품HQ 부회장도 물러나게 됐다. 이에 따라 2021년 말에 도입됐던 HQ제도는 뒤안길로 사라진다. 이 제도는 신속한 의사결정과 계열사 책임경영 강화를 목표로 도입됐다.

롯데그룹은 2023년 8월 호텔HQ를 선제적으로 폐지하며 사전 검증을 진행했고,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지주는 실무형 조직으로 거듭난다. 고정욱(59) 사장과 노준형(57) 사장이 롯데지주 공동대표로 내정됐다. 고정욱 사장은 롯데지주 재무혁신실장이었고, 노준형 사장은 롯데지주 경영혁신실장이었다.
대표이사의 변화도 많았다. 전체 대표이사의 3분의 1에 이르는 20명의 대표이사가 교체됐다. 유통·식품 부문에서 특히 변화가 많았다. 백화점부터 마트, 이커머스까지 대표이사가 모두 바뀌었다.

롯데쇼핑 슈퍼사업부 대표이사 자리는 차우철(57) 롯데GRS 대표이사가 맡기로 했다. 차 대표는 경희대 식품가공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롯데제과 구매팀에 입사했다. 2004년부터 2017년까지 롯데그룹 정책본부 개선실에서 근무했고, 이후 구원투수로 활동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경영 상황이 좋지 않던 롯데GRS 대표 자리를 2020년에 맡은 후 롯데리아를 성장시키면서 GRS의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는 성과를 인정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롯데마트와 슈퍼의 통합 조직관리, e그로서리사업 안정화, 동남아 중심의 글로벌 사업 확장을 주도한다.
외부 발탁 인사였던 정준호(60) 롯데백화점 대표 자리에는 정현석(50) 부사장이 내정됐다. 지난해 전무로 승진한 지 1년 만의 부사장 승진이다. 롯데백화점 고객전략팀장, 영업전략팀장, 중동점장, 롯데몰 동부산점장 등을 거쳤다. 2020년에는 에프알엘코리아(유니클로 운영사) 대표에 올라 유니클로 한국 사업을 정상궤도에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롯데웰푸드 대표이사에는 서정호(56) 롯데웰푸드 혁신추진단장 부사장이 내정됐다.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겸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부사장)은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신 부사장은 박제임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와 함께 각자대표를 맡아 그룹의 신사업 중 하나인 바이오 사업을 공동 지휘한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변화와 성장, 젊은 롯데에 대한 욕구가 반영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