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트업 콘퍼런스인 TechCrunch Disrupt, 온라인으로 개최 -
- 스타트업 경연대회를 통해 업계 전문가 및 투자자에 비즈니스를 알릴 기회 -
TechCrunch Disrupt는 샌프란시스코, 뉴욕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는 이벤트로 혁신적인 기술과 스타트업 축제로 잘 알려진 콘퍼런스이다. 신제품 공개, 저명인사 강연, 스타트업 경연 대회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10주년을 맞은 TechCrunch Disrupt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은 2020년 TechCrunch Disrupt 온라인 개최 현장에 참가했는바, 두차례에 걸친 연재로 1편에서는 전반적인 주요 행사 내용, 온라인 행사의 특이점, 배틀필드 참여 기업의 다양한 면모들을 소개하고, 2편에서는 참가 기업들의 구체적인 온라인 피칭 전략과 이와 관련한 시사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벤트 개요
행사명 | 테크크런치 디스럽트 (TechCrunch Disrupt) |
개최일시 | 2020년 9월 14~18일, 9:00~13:30(미국 서부 기준) |
개최장소 | 온라인으로 진행 |
주요 참가자 | 스타트업 및 기술 관련 기업의 창업자, 투자자, 개발자 등 |
주요 연사 | 9/14 Whitney Wolfe Herd, 창업자 & CEO @ Bumble 9/15 Drew Houston, 공동창업자 & CEO @ Dropbox 9/16 Andy Fang, 공동창업자 & CTO @ DoorDash 9/17 Ilkka Paananen, 공동창업자 & CEO @ Supercell 9/18 Mike Cannon-Brookes, 공동창업자 & 공동 CEO @ Atlassian |
강연 및 세션에서는 테크 업계에 유명한 인사들이 참여를 하고, 과거 페이스북 CEO, Mark Zuckerberg, 테슬라 CEO, Elon Musk도 연사로 참여를 한 이력이 있으며, 올해에도 방송인 Conan O'Brien, 코미디언 Kevin Hart 등을 비롯해 저명한 인사들이 연사로 참가했다. 스타트업 경연 대회인 스타트업 배틀필드에서는 미리 선발된 스타트업들이 피칭 경연을 진행했고, 클라우드 저장공간으로 유명한 Dropbox, 웹사이트 분석도구인 Mint 등도 과거 이 대회 출신이다.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의 IT Center에서는 입주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벤트를 홍보했다. 이에 관심 있는 기업들이 마스크 착용 및 개인 간 거리를 유지한 채 대회의실에서 참관했다.
무역관 내 TechCrunch Disrupt 참관 모습

자료: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촬영
Disrupt 2020 주요 내용 및 구성


자료: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촬영
1) Stage
발표 및 주요 행사가 라이브로 스트리밍 되었으며, 또한 각 스타트업들의 경연 피칭도 진행되었다.
2) Sessions
각 분야 전문가 및 투자자들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주제를 포함하여 재택근무 상황에서 스타트업 성장, 스타트업 피칭 자료 만드는 법, 개인 정보의 중요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3) Networking
오프라인 행사에서 네트워킹을 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해당 메뉴에 입장을 하면, 1:1로 랜덤하게 상대방이 매칭돼 화상으로 대화할 수 있다.
4) CrunchMatch
상담을 주선 해주는 기능으로, 참가자가 미리 이벤트에서 만나고 싶은 사람들의 유형을 입력하면, 프로필에 맞는 사람들의 추천 리스트가 제공된다. 또한 산업, 직무 및 회사 이름으로 수동 검색할 수도 있다.
5) Expo
수백 개의 초기단계 스타트업들이 참여하여 자사 제품 및 솔루션을 온라인 상에서 전시 및 홍보하는 장소이다. 한국에서도 Korea Pavilion이라는 이름으로 7개 기업들이 참가하여 콘텐츠 홍보 및 피칭을 했다.
온라인 vs 오프라인 이벤트 비교
항목 | Disrupt 2020 | Disrupt 2019 |
비용 | Stage, Expo 등 기본 콘텐츠 참관은 무료 | Expo 티켓만 $399 |
기간 | 5일간 진행 | 3일간 진행 |
접근성 | 온라인으로 실시간 또는 녹화 영상 시청 | 오프라인 이벤트로 현장에서 연사 강연 청강, 세션 참여 및 스타트업 경연 대회를 참가 |
몰입도 | 온라인 이벤트 특성 상 참여 몰입도는 감소함 | 직접 현장에서 스타트업들의 열정을 경험할 수 있음 |
특이점 | 플랫폼의 Networking 및 CrunchMatch 기능을 이용해 온라인에서 화상 대화 및 상담을 주선 | 주요 이벤트 외에도 24시간 해커톤, 애프터 파티 같은 행사를 진행했음 |
이벤트 자료 | 이벤트 녹화 영상에 대한 자료를 공유 (https://techcrunch.com/events/disrupt-sf-2020/videos/) | 뉴스, 스케줄 및 연사 정보 공유 (https://techcrunch.com/events/disrupt-sf-2019/) |
또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해 Hopin, Grip, Otter 등 타사 솔루션들을 사용하여 이벤트 편의성을 높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스타트업 경연대회 결과 화면


자료: TechCrunch
스타트업 배틀필드
Disrupt 이벤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타트업 경연대회이다. 10만 달러의 상금을 걸고, 20개의 스타트업들이 경쟁하게 된다. TechCrunch에 따르면 신청한 스타트업 중 2% 정도가 선정됐다고 하니 피칭하는 기회를 얻는 단계부터 경쟁이 높다.
실제 라이브로 피칭하기전에 수 주간 트레이닝을 하고 비즈니스 전략도 같이 다듬게 된다. 피칭 구성은 6분 발표, 6분 Q&A로 진행된다.
경연 대회 피칭 모습
자료: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촬영
대회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진행됐고, 최종전에는 5팀이 선정이 돼 금요일에 피칭을 진행했다. 각 스타트업들은 그린 엔진 디자인부터 SNS 비디오 도구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우승은 Canix에게 돌아갔다. 칸나비스(대마초) 재배자가 데이터 입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기업 자원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 준우승은 Matidor가 차지했다. 컨설턴트와 엔지니어가 단일 대시보드에서 프로젝트와 공간적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스타트업 배틀필드 발표 화면(좌: Canix, 우: Matidor)


자료: TechCrunch
스타트업 피칭 기회
출판 및 미디어 기업인 Forbes 에 따르면, 기업이 투자를 이끌어내는 방법에는 1) 피칭 이벤트 참가, 2) Accelerator 프로그램 참여, 3) 온라인 펀딩 플랫폼 사용, 4) SNS 및 블로그 사용, 5) 투자자에게 이메일 보내기 방법이 있다고 한다.
1)번과 2)번 방법을 중점으로 살펴보면, 스타트업들은 기업을 알리고 투자를 이끌어 내기 위해 공개 피칭을 진행하게 된다. 피칭 대회에 바로 참가할 수도 있고, 아니면 Accelerator에 참여해서 프로그램을 이수 후 Accelerator가 주관하는 피칭에 참가할 수 있다.
실리콘밸리 주요 스타트업 피칭 경연 대회
피칭 대회 | 참가 요건 | 상금 | 웹사이트 | ||
TechCrunch Disrupt | pre-Series A 스타트업 | $100,000 | https://techcrunch.com/events | ||
Boomer Venture Summit | 오랜 지속성을 가진 스타트업 | $10,000 | http://www.boomerventuresummit.com/ competition.html | ||
Finovate Demo Day | 핀테크 스타트업 | 지원 후 확인 | https://finance.knect365.com/finovatespring | ||
IEEE YP SCV and PnP Pitch Competition | Industry 4.0 스타트업( AR, 사이어보안,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분석 등) | 지원 후 확인 | https://www.eventbrite.com/e/ieee-yp-scv-pnp-startup-pitch-competition-tickets-69534165561 | ||
HR TechXpo | HR 솔루션 스타트업 | 지원 후 확인 | http://www.hrtechxpo.com/About/Pitch-Competition | ||
Launch Festival | 기술기반 스타트업 | $100,000 | https://www.launchfestival.com | ||
Naturally Pitch Slam | 북가주에서 1년 이상 비즈니스 영위 | $5,000 현금, $10,000 서비스 | https://naturallybayarea.org | ||
PitchForce | 선착순 10개 기업 | 지원 후 확인 | http://pitch-force.com | ||
Silicon Valley Entrepreneurs San Francisco Pitch Fest | 기술기반 스타트업 | 지원 후 확인 | http://www.meetup.com/sventrepreneurs/ events/223214848 | ||
Sogal Global Pitch Competition | Pre-series A 스타트업으로 최소 1명의 여성 또는 다국적 창업자 포함 | $500,000+ | http://iamsogal.com | ||
Startup World Cup | 기술기반 초기 스타트업 | $1,000,000 Grand Prize | https://www.startupworldcup.io |
벤처케피털 B사의 파트너로 있는 P모씨에 따르면, 미국에 진출하려는 국내 스타트업들 중 상당수가 투자자와 바로 1:1 상담하기를 원한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회를 얻기가 쉽지 않을 뿐더러, 상담을 하게 되도 바로 투자로 이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한다. 그래서 먼저 피칭 대회에 참가해서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비즈니스를 알리는 방법이 좋다고 말한다. 초기단계 스타트업들의 경우에는 Accelerator 프로그램을 통해 피칭 준비와 비즈니스 모델 확립을 추천한다고 한다.
실리콘밸리 지역에는 많은 벤처캐피털과 더불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Sci-Fi, 유전체 등 다양한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Accelerator 프로그램들이 있다.
실리콘밸리 지역 주요 Accelerator
Accelerator 이름 | 관심분야 | 조건 및 혜택 |
500 Startups | 기술 기반 비즈니스 | $15만 투자로 6% 지분 |
Acceleprise | 초기단계 Saas(소프트웨어, 핀테크, AI 등) | 최대 $10만 투자 |
Alchemist Accelerator | 협업, 디지털헬스, 핀테크, IoT 등 | 평균 $3만6000 투자 (평균 5% 지분) |
AngelPad | 배달 서비스, 드론데이터 소프트웨어, 콘텐츠 데이터 플랫폼, 천문학 등 | $12만 투자, $30만 이상의 클라우드 서버 크레딧 사용 가능 |
Founder Institute San Francisco | 모바일 플랫폼, 부동산, 소프트웨어, 온라인 교육 플랫폼, 반려동물 ID 서비스, 등 | 지분의 4%를 공동 기금에 기여하고, 이 4%에 해당하는 금융적인 혜택은 참가한 프로그램 졸업생, 멘토, 리더 및 Founder Institute와 동등하게 분배 |
Founders Space | 기술 기반 비즈니스 | 파트너로부터 최대 $10만 가치의 특별 혜택 제공 |
LAUNCH Accelerator | 기술 기반 비즈니스 | $10만 투자로 6% 프로그램 이후 $50만 또는 다음 라운드의 절반까지 투자할 수 있는 옵션 |
OneTraction | AI, AR, 블록체인, 사이버보안, e커머스, 퀀텀컴퓨팅, VR 등 | 최대 $25만 투자, 2% 지분(단계별 프로그램) |
Orange Fab | 기술 기반 비즈니스 | 지분 조건은 없고 투자자, 사업 개발 및 네트워킹 이벤트 초대, Series A+ 이상 단계의 스타트업 대상 프로그램 |
RocketSpace | 자동차 기술, 식품 및 농업 기술 | 지분 조건은 없고 멘토십, 브랜딩, 투자 기회 등을 제공, 후기단계 스타트업 대상 |
Y Combinator | 기술 기반 비즈니스 | $15만 투자로 7% 지분 |
Boost VC | Sci-Fi | $50만 투자로 15% 지분 + 숙소 및 오피스 공간 제공 |
Founders Embassy | 초기 단계 기술 기반 비즈니스 | 지분 조건 없고, 해외 기업가들 실리콘밸리 진출 지원 |
Illumina Accelerator | 유전체 스타트업 | 임상연구 및 응용과학에 해당하는 스타트업에게 멘토쉽, 연구실 및 재정 지원 |
Mind the Bridge | 디지털, 건설, 스마트 시티, 에너지/E솔루션, 자동차, 로봇, 핀테크, 블록체인, AI 등 | 워크숍, 멘토십, 기업 방문, 피칭 연습 등 진행 |
Berkeley Skydeck | 소프트웨어+데이터, AI, 로봇 등 | 최대 $10만 (참가 시 $5만, 3개월 후 $5만) |
Hardware Club | 하드웨어 | $15만~125만(평균 $35만~70만) 투자 |
Highway1 | 하드웨어 | 최대 $10만 투자로 8% 지분 또는 $5만 투자로 5% 지분 |
Plug and Play | 파일호스팅, 온라인 결제, 온라인 대출, AI, 등 | 직접 투자는 안하고, P&P에 투자한 대기업들과 연결 |
Bolt | SaaS 가 적용된 소비가전, 디지털헬스 하드웨어 | 최대 $100만(평균 $20만~50만) 투자. VC에 가까움 |
Women’s Startup Lab | 여성 창업자와 팀원들 | $2,700 과 3% 지분이 프로그램 비용 |
MouseBelt | 블록체인 | 최대 $25만 투자 |
시사점
2020년 TechCrunch Disrupt 이벤트는 온라인으로 진행돼 오프라인 이벤트와 비교해서 생동감은 적었으나, 1:1 매칭 등 온라인 상 기능이 추가됐고 이벤트 종료 후에도 온라인으로 자료들을 열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스타트업들에게 피칭은 업계 전문가들로부터 직접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이벤트 참가자들이나 잠재 파트너들에게도 기업 인지도를 쌓을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많은 투자자들에게도 동시에 홍보를 할 수 있어서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국내 스타트업들도 이러한 피칭 대회를 미국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삼아 적극적인 참여가 권장된다. 또한 스타트업 비즈니스 기반을 튼튼히 하기 위해서는 Accelerator 프로그램 참여를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자료: TechCrunch, Wikipedia, Forbes, Founders Institute,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