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평화상 발표 D-1, 지지 확산 속 수상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가능성을 둘러싼 논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10일(이하 현지시각) 예정된 노벨평화상 발표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하마스 간 가자지구 휴전 1단계 합의를 계기로 ‘평화 중재자’ 이미지를 부각하며 수상 자격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노르웨이 노벨위원회의 심사 기준을 감안하면 “올해 수상은 쉽지 않다”는 관측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라고 AP통신,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외신이 9일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유엔총회 연설과 인터뷰 등에서 “여러 분쟁을 끝냈다”며 노벨 수상 자격을 공세적으로 피력해왔다. 가자전쟁을 둘러싼 20개 조항의 평화안 1단계가 타결되자 미국 보수 매체와 친이스라엘 단체를 중심으로 지지 발언이 이어졌고 이스라엘 텔아비브 ‘인질의 광장’에서는 일부 시민들이 “트럼프에게 노벨상을”을 외치기도 했다.
이스라엘·캄보디아·아제르바이잔 등 일부 지도자와 미국 내 정치권 일각도 공개 추천과 지지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노벨상 관측통들은 위원회가 일회성 성과보다 ‘지속 가능한 평화’와 ‘국제적 협력 증진’을 중시해 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가자 휴전의 실제 이행과 정착 여부가 아직 검증되지 않았고 다른 지역 분쟁에서의 역할 역시 당사국 평가가 엇갈린다는 이유에서다.
기후위기·다자외교 등 국제 어젠다에 대한 미온적 태도, 강경 군사행동 전력 등을 들어 “위원회 성향과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절차적 변수도 있다. 노벨평화상 후보 추천 마감은 매년 초로 하반기 이후 접수분은 통상 다음 해 심사 대상으로 분류된다. 노벨위원회는 정부로부터 독립된 5인 체제로 운영되며 공개 캠페인이나 외부 압력과 무관하게 판단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 왔다.
지난 2009년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 수여 때의 ‘시기상조’ 논란을 의식해 정치적 파장을 최소화하려 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시장과 외교 현장에서는 ‘성과의 내구성’이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휴전의 지속, 인질·수감자 교환 이행, 재충돌 방지 장치, 국제기구·중재국 간 공조 수준 등이 향후 평가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추천인 명단과 심사 논의는 비공개다.
가자 휴전 합의로 트럼프 대통령의 수상 명분은 강화됐지만 노벨위원회가 중시하는 지속성·다자협력 기준을 충족했는지는 아직 이르다는 관측이다. 지지와 반론이 맞서는 가운데 올해 영예를 안을지 여부는 발표 직전까지 안갯속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