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그룹 화재 발생 당일부터 주말 사이 비상대응에 총력
금융권 콜센터 운영·앱 내 안내문 게재·대체 인증수단 등 마련
은행권 대부분 금융 업무 정상화... 추가 피해 예방에 주력
금융권 콜센터 운영·앱 내 안내문 게재·대체 인증수단 등 마련
은행권 대부분 금융 업무 정상화... 추가 피해 예방에 주력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6일 국정자원 화재로 인해 일반 고객들과 금융사들의 업무수행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였지만 대부분의 금융업무가 정상화되고 있다. 금융권은 금융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금요일부터 지속해서 대응하고 있다.
우리금융그룹은 국내 금융그룹사 중 가장 신속하게 움직였다. 우리금융은 화재가 발생한 당일 저녁에 비상대응체계를 즉시 가동해 피해 최소화에 나섰다. 우리금융그룹은 대체 신분증을 활용한 거래 지원과 동시에 각 계열사의 홈페이지와 콜센터 운영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업무 공백 최소화에 나서고 있다. 또 전산 복구 지연에 대비해 영업점 중심의 보완 절차와 긴급 전산 개발 준비가 마무리돼 그룹 차원의 지원이 지속될 예정이다.
하나금융그룹 또한 이번 화재 사태를 통해 발생하는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 비상대응체계 가동을 실행했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27일 그룹 리스크부문장(CRO) 주재 회의 소집과 금융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하나금융은 이와 동시에 그룹 데이터센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청라 그룹통합데이터센터 관리 체계를 긴급 점검했다. 또 하나금융의 주요 관계사인 하나은행은 이호성 하나은행장 주재로 ‘국정자원 대응 TFT’를 구성해 이번 비상 상황 대응에 나섰다. 하나은행 관계자에 따르면 "오전 중에 대부분 복구돼 현재 따로 피해는 없는 상황이다"라면서 "대부분의 대면과 비대면 대출 접수는 가능한 상황이다"라고 했다.
신한금융그룹도 화재 발생 다음 날에 CRO 주재 회의를 소집해 △은행 △카드 △증권 △저축은행 등 주요 그룹사와 함께 대응 상황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신한금융은 앱 내 공지를 통해 불가능한 주민등록증 관련 비대면 실명인증 대신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수단 이용을 안내하고 있다. 29일부터는 신한금융 각 그룹사의 영업점 업무 개시 이후 영업점과 콜센터를 운영해 화재 사고로 처리하지 못한 고객 업무에 응대하는 방안을 사전에 수립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또 신한금융은 이번 국정자원 화재의 혼란을 틈탄 외부 해킹 시도를 예방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그룹 내 정보보안 비상체계도 강화하는 등 금융사고 예방과 금융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조치도 시행했다.
KB금융그룹은 지난 26일부터 비대면 비상 대응회의체를 운영하면서 대응 상황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실시간 현황 점검을 하고 있다. KB금융그룹의 주요 관계사인 KB국민은행 관계자는 "현재 현장에서는 대부분 복구가 돼 국가보훈처에서 자료를 수신해야 하는 나라사랑대출 외 다른 대면과 비대면 대출 접수는 가능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지방 금융그룹들 또한 이번 비상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 BNK금융그룹은 계열사마다 위기대응센터를 신설하고 비대면 실명인증 등 중단된 정부 기관의 서비스를 안내하고 대체 인증수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고객들에게 안내해 혼선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iM금융그룹은 그룹 위기관리협의회를 운영해 피해 최소화에 힘쓰고 있다.
구성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oo9k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