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값싼 IT 기기, 더 이상 없다”…트럼프 관세에 USB·충전기값 뛴다

미국 뉴욕 맨해튼의 애플 스토어.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 맨해튼의 애플 스토어.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 전반에 대해 최고 14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일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주요 전자제품은 일시적으로 관세 예외를 적용받게 됐다.
그러나 USB 충전기, 배터리 팩, 이어폰 등 일상적인 저가 IT 기기들은 관세 대상에서 빠지지 않아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CNN이 17일(이하 현지시각) 이같이 보도했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발표한 각서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 저장장치, 집적회로(IC) 등 일부 핵심 전자제품을 보복관세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 조치로 백악관은 곧 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자신의 SNS 트루스 소셜을 통해 “어느 누구도 면제받지 않는다”며 “전자제품도 관세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된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관세 면제 조치의 수혜는 애플이 대표적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애플의 인도 협력업체들은 3월 한 달간 미국으로 약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의 아이폰을 수출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1분기 미국 PC 출하량이 관세 회피 수요로 인해 전년 대비 12.6%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제는 일상적으로 구매되는 저가 IT 기기들이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관계자는 CNN의 질의에 “USB 충전 케이블, 보조배터리, 이어폰, 게임기 등은 예외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다만 제품 내부 부품 구성이나 관세분류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컴퓨터 마우스와 키보드는 예외 대상으로 분류됐지만 최종 판단은 세관에 달려 있다고 ITC는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칸탈의 데이브 마코트 부사장은 “USB 충전기처럼 20~25달러(약 2만8000~3만5000원) 이하의 제품들이 관세 영향을 가장 먼저 받을 것”이라며 “중소기업들은 애플처럼 공급망을 조정할 여력도 없어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800달러(약 113만원) 이하 제품에 대해 세금 없이 미국 입국을 허용하던 ‘디 미니미스(de minimis) 면제’ 제도도 폐지했다. 이에 따라 가격 상승 체감이 더욱 클 수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의 잭 리텀 애널리스트는 “40달러(약 5만7000원) 제품이 80달러(약 11만3000원)로 오르면 소비자는 큰 부담을 느끼지만 1200달러(약 170만2000원)제품이 1500달러(약 212만8000원)로 오르는 것보다 체감은 더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국 상무부는 1~2개월 내 반도체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폰 생산을 미국 내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인력 부족과 비용 상승 등 현실적 문제로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IDC의 프란시스코 제로니모 부사장은 “미국 내에 필요한 숙련 인력을 확보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